| Review |



김혜련의 벽


김미정_미술사 박사


.
김혜련 작가에게 벽은, 작가의 마음을 괴롭히는 근원이다. 바로 이 근원의 고통은 화가의 작 품에 강렬한 시각적 메타포로 점점 확대됐다. 과일, , , 그리고 제주도와 울릉도의 땅과 바다의 근원과 경계는 화가의 마음을 뒤흔들어 강렬한 유화 연작들을 쏟아내게 했다. DMZ의 살풍경부터 임진강의 아픈 철조망, 2015년 베를린 문화원에 설치하였던 병사의 미소 작업까 지 김혜련의 작업은 일관되게 인간 역사 속 벽을 주제로 한 변주였다.


벽은 영토의 끝을 확정하고, 경계의 안과 밖을 나누는 금이다. 냉전 시대 한반도에 그어진 철 조망이 그렇듯이, 벽이 은유하는 단절의 메타포는 너무나 분명하다. 이 잔혹한 철벽의 선은 세계 곳곳에서 긴장과 갈등, 폭력과 테러를 발화시킨다. 그러나 동시에 벽은 인간 주체와 사 회의 속성을 결정하는 보호선이기도 하다. 배타성과 동질감, 감금과 보호, 탈주와 정주라는 기이한 인간 세계의 위상학적인 배치는 바로 이러한 의 양면성에서 기인한다. 그러니 벽 은 인간 사회의 가장 근원적 구조물이다.


역사에 천착하는 김혜련의 여정은 베를린에서 파주로 이주한 독일 유학생 출신 작가의 필연 적 운명처럼 느껴질 때가 있다. 임진강을 따라 세워진 철조망의 가시가 늘 화가의 심장에 박 혀 통증을 유발하고 있는 것일까? 김혜련 작가의 벽은 회화로 시작되었다. 작가는 독일 유 학시절 공부할 때 독일 표현주의 미술의 전통에 깊숙이 스며들었다. 초기의 유화들은 그녀 가 얼마나 섬세하게 북유럽 회화의 전통을 이해하고 체화했는지를 잘 보여준다. 그리고 귀국 후, 강렬하게 다가온 한국 문학의 영감은 그녀의 깊은 북구적 감각에 정갈한 한국적 정서를 덧씌워주었다. 미묘하게 지층을 드러내는 양피지 필사본처럼, 그녀의 회화는 서구의 감각과 우리의 정한을 신비하게 융합하였다. 시인 영랑의 맑은 언어의 세계와 소설가 박경리의 짙은 서사적 토속성이 절묘한 컨트라스트를 뿜어냈다.

그러나 그 품격 높던 회화의 세계는 어느 날 자르고’, ‘꿰매고’, ‘찌르고’, ‘못 박는설치와 오 브제의 실행으로 급전환하였다. 그 시작은 <용궁>에서부터였다. 캔버스는 잘려나가고 액자 의 틀만 덩그러니 남은 작품은 상실과 약탈의 기억을 불러일으켰다. 그리고 그 아픔은 거친

 

바느질과 핀과 못이 아무렇게나 박힌 구조물로 제시되었다. 김혜련이 땅의 소리를 듣고 역사
의 유령들과 대면하고서 일어난 변화였다. 이 거친 행위는 그녀의 인식전환이 얼마나 급박한 지, 그녀의 메시지가 얼마나 절실한지 보여주었다.


김혜련은 끊임없이 벽을 허물고 찢고 베어 버린다. 고대의 폐허처럼, 그 아름답던 그림은 사 라지고 뼈대만 앙상해졌다. 작가가 베어 버려 사라진 아름다운 유화들! 존재의 무상함을 이 보다 더 강렬하게 드러낼 수는 없다. 그렇지만 폭력의 행위를 반복하는 와중에도 김혜련은 격한 감정을 해소할 비상구를 모색하였다. 비상구는 바느질이었다. 종이에 먹으로 그리고, 간절한 소원을 담아 자르고 이어붙인 작품들이 연이어 제작되었다. 바느질은 무한히 반복되 는 노동이면서 동시에 제의적이다. 바느질은 무념의 소극적 행위처럼 보이나 실은 적극적인 회복의 몸짓이다.


최근 작가는 고대사에 몰두하고 있는 듯하다. 웅비와 쇠멸. 역사의 유장함은 지금의 ’, ‘우 리를 성찰하게 한다. 시인 윤동주가 파란 녹이 낀 구리거울 속에 남아 있는 내 얼굴을 응시 하는그러한 마음일 게다. 왕조의 유물을 욕되게 할 수 없다는 아픈 시대 시인의 자존감, 그 것과 김혜련의 역사 응시는 흡사하다. 아름다운 성찰을 위해 작가는 초기 오브제의 거친 도 발과 격정의 색을 지우고, 자신의 오래된 옷가지와 보석을 달았다. 여느 때보다 이번 작품이 우아하고 절제된 것은 거울 속 자화상이기 때문이다.


고대의 역사를 통해 점차 거시적인 문명사로 자신의 인식을 확대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김 혜련의 작업은 백남준이 <마이 파우스트><칭기즈칸>에서 보여준 인류사적인 비전을 연상 시킨다. 전후 독일의 지적 풍토를 공유한 데서 오는 유사함일지도 모른다. 김혜련은 글씨와 아상블라주라는 구조적 형태의 수용뿐만 아니라 작품에 내재한 광활한 서사적 구조를 공유함 으로써 거장 백남준을 오마주하고 있다.


작가가 폭력의 재연을 통해 종국에 도달하고자 하는 것은 치유의 가능성일 테다. 꽃과 처연 한 눈물, 맑은 그릇과 정화된 물, 비상하는 연처럼 벽을 넘어 훨훨 날아가는 그날을 기다리는 것일 테다.

- 2016 괴테 인스티튜트 서울의 개인전 슬픔의 벽도록


 
| Review |




The Walls of Heryun Kim


Kim Mi-jung, PhD. Department of Art History



Walls.
To the artist Heryun Kim, walls are the primary tormentors of the spirit. Kim has spent her career expanding her visual metaphors concerning this very source of her anguish. The boundaries displayed in fruit, flowers, and boats, as well as the divide between land and sea on the islands of Jejudo and Ulleungdo, have stirred her emotions and compelled her to burst forth with a series of fervent oil paintings. From the bleak landscapes of the DMZ to the barbed wire that painfully lines the Imjingang River, or her “soldier’s smile,” which was exhibited in Korean cultural centers in Berlin and Paris, Kim’s work has consistently grappled with walls and boundaries.

Walls mark the end of a territory, a fissure separating inside and outside. Just like the Cold War fence of barbed wire that stretches across the Korean Peninsula, the metaphor of severance enacted by walls is painfully clear. Such cruelly impenetrable divides instigate tension, conflict, violence, and terror throughout the world. At the same time, walls also serve as protective barriers that determine an individual’s sovereignty amid surrounding social dynamics. Exclusivity and homogeneity, incarceration and protection, escape and settlement—this topological arrangement of the human condition is based on the dual nature of walls. Walls are therefore the most elemental structure of human civilization.

Kim’s journey of historical excavation often seems destined, in light of her student days in Berlin and her reverse migration to Paju. Perhaps the spikes of the barbed wire that stretch along the Imjingang River have become lodged in her heart, causing severe pain. She started attacking her walls through paintings. As a student in Berlin, she immersed herself in the traditions of German expressionism. Her early oil paintings demonstrate how thoroughly she understood and absorbed the heritage behind Northern European paintings. Her return to her native Korea brought an onslaught of local cultural inspiration, which added a crisp layer of Korean emotion to her northern sensibilities. Like the subtle layers of parchment manuscripts, her paintings are a mysterious blend of Western aesthetics and the Korean spirit, in which pure poetry, in the manner of Yeongrang Kim Yoon-sik, strikes a delicate contrast with the rich descriptive narrative style associated with novelist Pak Kyongni.

 

Yet the dignity of such high-class paintings one day reverted to installations and devices that cut, sew, pierce, and nail down. The beginning of this transformation was Palace of Sea King. With the canvas cut out, what remains is an empty frame, reminiscent of loss and pillaging. Her pain was expressed through rough needlework, pins, and nails that randomly tore through the structure. It was a transformation Kim effected listening to the sounds of the earth and facing the phantoms of history. This erratic act demonstrated the urgency of her perceptive transformation and the sincerity of her message.

Kim endlessly demolishes walls, ripping and slashing them apart. The beauty of her paintings has vanished, leaving a haggard skeleton that resembles ancient ruins. The beauty of her paintings, destroyed by the artist herself! Nothing could better depict the emptiness of existence. Yet despite the repeated violence of her acts, Kim has looked for emergency exits for emotional release. She found one in sewing. She covered paper in India ink, cut it up, and stitched it back together. Sewing is an endless labor that is ceremonial at the same time. Sewing may seem like a timid state of thoughtlessness, but it’s actually an aggressive act of recovery.

Kim has lately become fascinated with ancient societies. The rise and fall of civilizations. The tedious processes of history make one reflect on the concepts of “me” and “we.” It’s probably akin to how the poet Yun Dong-ju felt when he mentioned “staring at my face in the copper mirror  marked with bluish rust.” In his tragic nationalistic pride, Yun wished to prevent Korea’s royal artifacts from being sullied, and his look into himself is similar to Kim’s gaze across history. To preserve the beauty of reflection and observance, Kim disposes of dramatic colors and utilizes old clothing and jewels. Her work is more graceful and restrained than ever before, afforded by objects like her self-portrait in the mirror.

Kim’s ability to gradually broaden the scope of her work through reflections on antiquity, thereby adopting a more macroscopic view of human civilization, can be likened to the vision of human history portrayed in Nam June Paik’s My-Faust or The Rehabilitation of Genghis Khan. Perhaps this similarity stems from the fact that both artists spent time in Germany at historic junctures in the country’s history—Paik during the postwar years and Kim shortly after the Berlin Wall was torn down. Come to think of it, through devices such a folding-screen installation, letters and sewing work, or an assemblage, as well as the vast narrative structure latent in her work, Kim pays homage to Paik.

Through her reenactment of violence, Kim desires to attain the possibility of healing. Whether it’s flowers, plaintive tears, pure water and a clean bowl, or a kite soaring above our walls, she awaits the day when we’re no longer contained by them.

-2016 catalogue of solo exhibition “wall of sadness” in Geothe Institute Korea


2021-02-20 14;59;49.PNG


Board Pagination ‹ Prev 1 Next ›
/ 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Copyright ⓒ 2013 heryun-kim.com. Allrights reserved.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