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sadong Site Research Series Vol. 3   

development of neolithic cultures and diversity of pottery.


special contribution   Root of Geometric Pattern in Korea: artistry of Neolithic pottery


KIM Heryun (artist (painitng), Korea)



I studied German literature and art theory in Korea and painting and art studies in Germany. Currently, I am working as a full-time artist between Germany amd Korea. I have been interested in history, so I often visit cultural heritage sites and museums. From a few years ago, I began to draw artifacts with pencils, pens, or watercolors while sorting out Korean artifacts and related materials. As these works exceeded 300 pages in note, I became to work on the formative features that I graped in this process.

The earliest work was the <The Great Tomb of Hwangnam Horse Saddle>, which was a variation of the horse saddle pattern of The Great Tomb of Hwangnam. The lively and rhythmic lines of metal crafts on the green background of a buprestid were creating a rich and stereoscopic sense of space inside the closed curve. Althogh similar links are repeated as the curves and straight lines meet, detailed repetition is not a uniform repetition but rather an impromptu variation that changes a little each time, and the determination of creative goodness that is not bound by the existing rule is visible. I made a stable configuration by trying curves and curves, cutting the length of the curves, and putting a straight line between the curves. Powerful curves filled with mobility combine with the discipline of the straight lines to create a totally stable and open, very interesting composition, creating the proper distribution of closed and opening.

The beauty of curved line of Korean arts found in the outline of the white porcelain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eaves of the palaces is a rich curved line, and it is a kind of loneliness that does not get bored even if you look at it for a long time. The interpretation that tempered form implies mentality is in accordance with contemporary theories of abstract art, and the formative principle of simplication, filtering, and leaving only the core is also the principle in which letters are made. The artisery of Korean traditional art forms the form of curves when contributing to the actualistic description because the linear sensitivity always acts on the back of the curve is. The formative sensibility of the straight line, which is maximized in the bronze motifs of the bronze period, goes back further and the seeds are found in the Korean Neolithic earthenware pattern. 

2023-07-19 08;24;01.PNG

The work <My Neolithic Period (100 pieces of paper). Each 25 x 30cmEat on paper, 2018> is a variation of the motifs of the Korean Neolithic pottery. Although the Neolithic pottery of Korea verlaps with other Neolithic pottery found in Eurasia, the concentration of earth, the pleasure of line drawing, the improvisational decisive power of form, the various lengths and intervals of the line in which rhythm and respiration are revealed, contains the artistic values discussed in contemporary arts, such as the appropriation of fill and emptiness in the composition, and the voluntary application of fear of failure at all. It is a very intrinsic moment when human beings meet with the world and act in the senses of perception and cognition, which is the most important function in expressing something with physical properties, and this is where the aesthetic sensibility comes together in the Korean Neolithic pottery. It is an abstract of the Neolithic pottery of the period before the appearance of the priest, including the hands and the soil, the psychological response to the incomprehensible world, the symbol system for it, the scream for survival, the desire for the rain, the essence of art and the world view of the human being are encrypted. ...

In terms of the linear formality and the grammar cryptography left on the material of soil, the roof tiles and remains of Goguryeo and those Goryeo are successors of Korea’s Neolithic pottery relics. I read that there is a formative flow that is full of abstraction even though the time and the concrete position are different. Accoding to the viewpoin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unique and artistic culture in the Liao-Dong Peninsula, the Shandong Peninsula, the Maritime Province, and the Mongolia-was an important and unique art world distinct from Chinese art. The Neolithic earthenware pattern, which lasted for nearly 10, 000 years, has become an important roots of the uniqueness of Korean art against the Iron Age and the Bronze Age.





암사동 유적 연구총서 제 3권 

신석기문화의 발전과 토기의 다양성


특별기고       한국 기하문의 뿌리- 신석기 토기의 예술성

  

김혜련, 작가 (회화) 한국 

  

저는 한국에서 독문학과 미술이론을, 독일에서 회화와 예술학을 공부한 후 현재 독일과 한국을 오가며 전업 작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인문학 중에서 특히 역사에 관심이 많아서 문화유적지와 박물관 답사를 자주 하곤 했는데 몇 년 전부터는 한국 유물들과 이와 관련된 자료들을 정리하면서 연필이나 펜, 또는 수채화로 유물들은 드로잉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밑 작업들이 공책에 300장을 넘어서면서 이 모사과정에서 제가 파악하게 된 조형적 특징을 작품화하게 되었습니다.

 

가장 먼저 제작한 작품은 황남대총의 말안장 문양을 발췌하여 반복 변주한 <황남대총 말안장> 이었는데 비단벌레의 초록색 바탕 위로 금속공예의 활달하고 율동적인 선들이 폐곡선 안에서 풍부하고도 입체적인 공간감을 만들어내고 있었습니다. 곡선과 직선이 만나면서 비슷한 연결고리가 반복되고 있지만 자세히 모사하다보면 일률적인 반복규칙이 아니라 매번 조금씩 달라지는 즉흥적인 변주가 일어나고 있으며 기존의 법칙에 얽매이지 않는 창의적인 선의 결정력이 돋보입니다. 곡선과 곡선을 묶고 곡선의 길이를 절제하고 곡선 사이에 직선을 투입하여 구성을 안정적으로 만들었습니다. 운동성으로 가득한 힘찬 곡선들이 직선들의 절제력과 결합되어 닫힘과 열림의 적절한 분배를 만들어내면서 전체적으로 안정적이면서도 개방적인, 매우 흥미로운 구성을 이루어내고 있습니다.

 

조선시대 백자의 외곽선이나 궁궐의 처마선에서 발견하게 되는 한국 전통예술의 곡선미는 풍부한 곡선이되 절제미가 살아있어 아무리 오래 보아도 싫증이 나지 않는 일종의 고전미를 이루고 있습니다. 절제된 형태가 정신성을 함축하고 있다는 해석은 현대의 추상예술이론과 그대로 일치하며, 단순화하고 걸러내고 핵심적인 것만 남긴다는 조형적 원리는 문자가 만들어진 원리이기도 합니다. 한국전통미술의 예술성은 형태를 구성함에 있어서 곡선을 구사할 때 그 곡선이 사실주의적 묘사에 기여하기 보다는 추상성 또는 정신성에 기여하는데 그 이유는 곡선의 이면에 항상 직선적 감수성이 그 중심축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청동기 동경의 문양에서 극대화되고 있는 직선에 대한 조형적 감수성은 더 거슬러 올라가 한국 신석기 토기문양에서 그 씨앗들이 발견됩니다

 

작품 <나의 신석기 (100장의 종이), 25x 30cm, 종이에 먹, 2018 >는 이러한 발견을 주제로 한국 신석기 토기의 문양들을 발췌 변주한 작품입니다. 한국의 신석기 토기들은 문양의 도식에서는 유라시아 전역에서 발견되는 다른 신석기 토기들과 겹쳐지지만 흙이라는 물성에 대한 집중력, 선 긋기의 즐거움, 형태의 즉흥적 결정력, 율동과 호흡이 드러나는 선의 다양한 길이와 간격, 전체적 구성에서 채움과 비움이 적절이 분배되어 있음,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전혀 보이지 않는 자발적인 응용력 등, 현대미술에서 논의되는 예술적 가치들이 그대로 들어 있습니다. 인간이 세계와 만나 물성으로 어떤 표현행위를 할 때 가장 핵심적으로 작용하는 지각행위와 인식작용, 여기에 미학적 감수성이 함께 작동하는 매우 본질적인 순간을 한국 신석기 토기들에서 만나게 된 것입니다. 자신의 손과 흙, 불가해한 세계에 대한 심리적 반응과 이에 대한 상징체계, 생존을 위한 절규, 빗줄기에 대한 염원, 자연이자 신인 하늘과 구름에 대한 대화방식 등, 제사장 등장 이전 시기의 신석기 토기에는 추상 예술의 본질과 인간의 세계관이 그대로 암호화 되어 있습니다. ...

 

흙이라는 물질 위에 남겼던 직선적 조형성 또는 기하문이라는 관점에서 고구려의  기와문양과 고려의 기와 유물은 한국의 신석기 토기 유물의 계숭자들입니다. ...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관점에 따라서는 요동반도, 산동반도, 연해주, 몽골을 포함하는-지역에 독특하고도 예술성 높은 문화가, 중국미술과는 확연히 구별되는, 중요하고도 독자적인 예술세계가 있었음을 유물들은 말해주고 있는데 만년 가까이 지속되었던 신석기 시대의 토기 문양은 청동기와 철기를 거쳐 오면서 한국미술 고유성에 중요한 뿌리가 되고 있습니다. 



 

 

 

 


Board Pagination ‹ Prev 1 Next ›
/ 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Copyright ⓒ 2013 heryun-kim.com. Allrights reserved.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