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혜련, 존재의 원형을 찾아서


작가는 어쩌면 잃어버린 상징을 소환하고, 잊힌 원형을 호출한다. 예술과 암호_빗살무늬(2018), <예술과 암호_황남대총(2018), 예술과 암호_고구려의 기와 문양>(2019), 예술과 암호_고조선(2020), 그리고 근작에서의 예술과 암호_고인돌의 그림들>(2021)에 이르기까지 작가는 한국의 고대 유물을, 선사시대와 고대 역사를 두루 섭렵하고 아우른다. 작가에 의하면, 한반도에는 무려 30,000여 기나 되는, 아마도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는 고인돌 유적이 전해진다고 한다. 가히 거석문화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작가는 그렇게 전국에 흩어져 있거나 숨어 있는 상징(작가의 용어로는 암호)을 찾아서 방방곡곡을 헤맨다. 남원 대곡리 암각화, 고령 장기리 암각화, 영천 보성리 고인돌 암각화, 그리고 영일 칠포리 암각화와 같은, 여기서 고인돌은 말할 것도 없이 고대 무덤이고, 암각화 역시 꼭 죽음이 아니라 해도 죽음(주검)을 기념하는 것과 같은 제의와 관련이 깊다. 단순한 미의식만으로 새겨진 그림이 아니라는 말이다. 언어의, 상징의, 암호의 한 형식이다. 작가는 그렇게 암호를 매만지면서, 해석하고 각색하면서 고대인과 만나는 것이며, 그러므로 어쩌면 자신이 유래한 존재의 원형 혹은 원형적 존재와 만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작가는 이처럼 고대인이 발신해온 암호를 어떻게 해석하고 각색하는가고인돌도 그렇거니와 암각화에서 암호는 돌 위에 아로새겨져 있다. 무채색이다. 그래서 작가는 골판지에 먹으로 그렸다. 그렇다면 돌의 질감이며 아로새겨진 새김질은 또한 어떻게 재현할 것인가. 그래서 골판지에 칼로 긋고, 부분적으로 종이를 뜯어내고, 마치 칼질을 하듯 붓질로 새김질을 대신했다. 그렇게 화면은 암각화의 최소한의 원형을 유지한 채, 내지르는 붓질과 튀기거나 마구 흘러내리면서 맺힌 먹물 자국으로 낭자한 것이 흡사 기운생동의 육화된 형식을 보는 것 같다. 작가는 고고학자가 아니므로 돌에 새겨진 암호를 의미보다는 감각으로 해독하는 것이다. 육화된 형식 그러므로 몸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문제는 고대인이 전하는 메시지가 아니라, 그 메시지에 실려 온 고대인의 혼이다. 암각화에는 의미보다 먼저 고대인의 혼이, 흔적이, 번민이, 숭고가 아로 새겨져 있었다. 바로 그렇게 의미보다 먼저 아로새겨진, 그러므로 의미 이전부터 있었던, 한갓 의미로 환원되지는 않는, 다시, 그러므로 어쩌면 의미를 표면으로 밀어 올렸을 혼을 무슨 귀신이라 도 부르듯(그러므로 초혼) 되불러오는 것이다. 보통 상징과 암호를 취할 때는 자칫 기호와 패턴으로 빠지거나 도상학적으로 흐르기 쉬운데, 작가는 그 염려를 뒤로한 채 암각화에 암호로 아로새겨진 고대인의 혼을 되불러오는 일에 성공하고 있다. 그러므로 어쩌면 자기가 유래했을 원형적 인간, 까마득하게 잊힌 자신과 대면하는 일에, 잠재적인 자기를 불러내는 일에, 자신의 육화된 분신과 대면하는 일에 성공하고 있다.


- 2021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학술심포지움 자료집에 실린 고충환 미술비평가의 글



Heryun Kim, Searching for the Archetype of Being

 

                                                                                                                           Kho, Chung-Hwan (art critic)

 

The artist Heryun Kim seems to summon long-lost ancient symbols to bring back the forgotten archetype of being. From Arts and Code: Comb Pottery (2018), Arts and Code: Hwangnamdaechong (2018), Arts and Code: Roof Tile Patterns in Goguryeo (2019), Arts and Code: Gojoseon (2020) to the recent work of Arts and Code: Engraved Dolmens in Korea (2021), her works extensively encompass the topics of Korean ancient relics as well as its prehistoric and ancient history. According to her, the Korean Peninsula has no less than 30,000 dolmens, which is an unprecedentedly large number worldwide. Indeed, it may well be called megalithic culture. She travels all over South Korea, searching for ancient symbols (or codes, as she puts it,) scattered or hidden around the country. She has visited many well-known petroglyph sites; Daegok-ri in Namwon, Janggi-ri in Goryeong, Boseong-ri in Yeongcheon and Chilpo-ri in Yeong-il. In these sites, dolmens are ancient tombs, of course, and petroglyphs are also closely related to funeral rites commemorating the death (corpse) of the deceased, if not directly related to death itself. It means that they are not just ordinary paintings engraved for purely aesthetic purposes. They are a form of language, symbol or code. By touching, interpreting and reinventing the codes, Kim encounters ancient people who were probably the original form of being, namely the archetypical being, from which she originated. Then, how does she interpret and reinvent those codes transmitted by ancient people?

             The codes of petroglyphs are carved on rock surfaces. They are in achromatic colors. Hence, Kim paints on cardboard with Korean black ink. Then, how does she recreate the texture of rocks and the technique of engraving? She slashes the cardboard with a knife, cuts off part of the paper and uses a brush instead of a knife to represent the act of engraving. By doing so, she keeps the prototype of petroglyph at the minimum in her paintings, while her wild brush strokes and ink splatters, dripping down or gathering randomly here and there, seem to show an incarnated form of vigorous energy. Not being an archeologist, Kim is decoding the codes engraved on rocks with her senses, rather than by inquiring into meaning. They are in an incarnated form, and therefore, had better be interpreted with the body. What matters is not the message of ancient people, but their spirit carried in it. Prior to any meaning, the engraved images deliver the spirit, traces, suffering and sublimity of ancient people. She calls back their spirit, as if invoking the spirits of the dead. The engraved spirit precedes meaning, and thus, cannot be reduced to it. Rather, it is the spirit that probably pushes meaning up to the surface. In general, the employment of symbols and codes tends to lead to an obsession with signs and patterns or to iconology. Putting these concerns to rest, however, Kim successfully recalls the ancient spirit carried in the codes carved on rocks. By meeting with the archetypical human being from which she may have originated, that is, with herself completely forgotten for a long time, she invokes her latent self and finally confronts her incarnated alter ego.

 

- from the booklet of the academic symposium held at the Jeonnam International Sumuk Biennale in 2021.

 


Board Pagination ‹ Prev 1 Next ›
/ 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Copyright ⓒ 2013 heryun-kim.com. Allrights reserved.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