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연:  작품의 주제와 매체에 대해 설명 부탁드립니다.


김혜련: 저는 주로 유화를 회화 재료로 사용하면서 정물이나 인물, 풍경화 등 평범한 소재를 그려왔었습니다. 그렇지만 그 대상의 그 외양의 재현적 완성도에 신경을 쓴다기보다 처음부터 그 재료들이 주는 특별한 물성, 붓질의 운동감이라든지 유화 물감의 그 물성이라든지 또 캔버스 천의 마찰력이라든지 그리고 색깔의 병치 효과 이런 구성 이런 그 재료적 특성이 만들어내는 그런 영역에 집중하고 실험하는 것을 좋아했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점점 반추상적인 형태로 작품이 흘러오게 된 것 같습니다. 그리고 또 제가 베를린예술대학에서 회화를 배울 때 처음부터 어떤 새로운 소재나 대상에 접근할 때는 꼭 먼저 한지 위에 서예 붓으로 먹 드로잉을 먼저 시작했었어요. 그래서 대상이 주는 어떤 정서, 저와의 정서적 교감을 어떻게 언어로 표현해야 될지는 모르겠지만 그 형태가 주는 어떤 접점이 있거든요. 제 심정과 바라보는 자아인 저의 감정과 대상이 독특하게 저에게 전달해 주는 어떤 지점에서 만나게 되는데 그런 실험을 하거나 집중하는 데에 그 먹선이 큰 효과를 줬던 것 같아요. 태생적으로 한국 문화가 먹이 이렇게 친숙한 문화잖아요. 그런 태생적인 이유도 문화적인 이유도 있었지만, 또 서양 현대 모더니즘 태동기에 보면 앙리 마티스라든지 에밀 놀데라든지 이렇게 프랑스, 독일 대가들이 유화뿐만 아니라 먹 드로잉을 많이 하는 것을 알기 때문에 저는 이제 처음부터 어떤 재료를 가지고 서양화와 동양화를 구분하는 그런 개념이 없이 자유롭게 작품을 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김수연: 김혜련 작가가 생각하는 장욱진 작가의 심플정신이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그리고 김혜련의 작품에서도 장욱진과 같은 심플의 개념이 있다고 생각되나요?


김혜련: 장욱진 선생님의 작품 세계를 이번 전시 기획을 통해서 좀 더 자세히 아주 차분하게 감상할 기회를 갖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그분이 말씀하시는 그 심플이라는 것은 어쩌면 장욱진 선생님의 작품이 심플하다 이런 개념보다는 저에게는 수행이나 고난이나 삶의 행로에서 그 괴로워했던 그 모습들이 결국 그 너머에 도달하고 싶어 하는 정신적인 마치 불교의 사리처럼 이렇게 정신적인 어떤 그 바라봄이 심플이라는 용어로, 단어로 압축 되어진 것이 아닌가 저는 이렇게 해석이 됩니다. 작품의 조형적인 심플이 아니라 그분이 바라보고 다가가고 싶고 성취하고 싶었던 어떤 정신적인 세계가 심플, 그 자체였다고 저는 생각이 들어요. 저 자신이 심플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 라고 또 이렇게 물어보신다면 우리가 사는 세상이나 사회나 온갖 그 역사적인 뭐 소용돌이나 이 모습들이 너무 복잡하고 어렵고 점점 힘들어지기 때문에 이 심플은 이제 어떤 조형적인, 예술적인 가치라기보다 실존적인 가치가 되어가고 있는 것 같아요. 저희가 심플하지 않으면 아무도 더 이상 살아나갈 수 없을 만큼 그런 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절대적인 정신적인 가치라고 생각합니다.

 

김수연: 작업에 있어서 장욱진 작가와 어떤 연결점이 있다고 생각되시나요?


김혜련: 어떤 재료적인 측면보다는 저는 먹선을 선생님께서 다루실 때 대상을 자연대상의 외양을 재현하는 것에 거리낌이 없이 오히려 그 먹선의 그 필선을 운용함에 있어서의 다른 가치를 찾아내신 것 같아요. 그러니까 먹선을 정신적 가치의 수련 과정으로 보시는 측면을 저는 읽었는데 그 점이 제가 오랫동안 사실 고민하고 괴로워하던 지점이기 때문에 그런 점에서 예술적으로 연결된다고 봅니다.


김수연: 기획전 <비정형의 자유, 정형의 순수>에서 보여주시는 작품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김혜련: 제가 1990년 독일 통일 직전에 베를린으로 유학을 가서 그렇게 오래 있을지 몰랐는데 결과적으로 10년 넘게 그곳에 공부하고 작업 활동하면서 머무르게 됐는데요. 그리고 2001년에 귀국을 하고 나서 제 마음에 가장 하고 싶었던 것이 뭐냐면 유럽에 있을 때는 시간이 날 때마다 여력이 될 때마다 다른 나라의 미술관, 박물관, 문화 유적지들을 많이 보고 탐방을 했는데 한국에 돌아오니까 막상 제가 우리나라 문화에 대해서 너무 모르고 역사에 대해서 모르는 게 자책이 됐고 부끄럽고 또 사실 생각해보면 굉장히 한심하더라고요. 그래서 시간이 날 때마다 이제 가족 여행을 휴가로 가야 되거나 연휴가 생기면 문화유적지가 있는 곳을 정해서 답사를 많이 다녔어요. 답사를 많이 하다가 보니 어느 날 조금 점점 더 체계가 생기고 시대별 유형별 궁금증이 생기고 이렇게 좀 진행이 됐습니다. 유럽에 있을 때는, 독일에서 공부할 때는 박사과정에서 1011일로 로마에 있는 유적지 집중 탐사 기간이 있었는데 그때 17세기 카라바조의 검은 양식의 작품을 보고 충격을 받았고 저에게는 꼭 필요한 어떤 작품이었던 것 같아요. 그것이 첫 번째 사건이었다면 두 번째 큰 사건은 일본 나라에 있는 백제 관음을 보게 된 것인데 백제관음이나 구세관음을 꾸미고 있는 그 보관의 문양을 추적하기 시작해서 공부하고 연구하고 이렇게 스케치하면서 거슬러 거슬러 올라가다 보니 고고학에서 얘기하는 빗살무늬토기까지 가게 됐어요. 그래서 그 수백 장의 색채 드로잉들이 쌓여져 갔는데 어느 시점에서는 정보가 들어오기만 하고 그 누구에게 이렇게 상의할 수도 없고 정답을 이렇게 소통할 수도 없는 지점에서 좀 괴로워지더라고요. 그래서 일단은 먹 드로잉으로 내 고민을 조형적으로 풀어 봐야 되겠다 내 속에 계속 이렇게 축적된 정보를 문양으로 한번 풀어보고 싶어서 제작한 작품을 처음으로 2018년에 예술과 암호 빗살무늬라는 제목으로 국립중앙박물관에서 협업전을 실제 암사동 아주 멋진 빗살무늬 토기와 협업전을 하게 됐어요. 그리고는 그다음에는 고구려의 기와 문양, 예술과 암호 고구려의 기와 문양이라는 제목으로 개인전을 전곡에 있는 선사박물관에서 개인전을 하게 됐고 그다음에 세 번째로 하게 된 게 예술과 암호 고조선이라는 24점입니다. 작품이 나오게 되기까지 수많은 답사도 있었지만 수백 장의 드로잉을 통해서 형태 연구를 많이 했거든요. 수천 년 동안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한반도 내지는 만주 요동까지 합쳐서 한민족 문화권에서 반복적으로 드러나는 조형 언어가 무엇인가 실험하는 학자처럼, 실험하는 과학자처럼 추출해내고 싶었어요.

 

고조선 청동기 시대에 대표적 문화 지표 혹은 유물의 지표가 청동거울인데요. 제가 학교 다닐 때는 간략하게 국사를 배웠는데 그 한 세대가 훨씬 지난 지금은 그사이에 제가 이제 미술을 배우느라고 몇십 년을 보낸 이 세월 동안 현대 고고학이 엄청나게 발전을 했더라고요. 그래서 우리나라도 제가 전혀 몰랐던 유물들이 고고학적인 업적에 의해서 많이 발굴되고 전국에 박물관들이 좋아지고 많은 그 유물들 이렇게 소개가 되어져서 저는 사실 현재 현재는 한국 박물관들에 그걸 감상하는데 푹 빠져 있는 상태인데요. 그때 청동 거울도 이렇게 전라남도서부터 충청도 요동반도 까지 이렇게 해서 몇 십 개의 청동 거울을 색채 드로잉으로 먼저 했었거든요. 그래서 그 드로잉을 할 때에 나타나는 청동 거울 속에 다양한 그 문양들, 빗살무늬 토기에서부터 반복되어지는 삼각연속무늬라든지 엑스자라든지 이런 것에 심취했었어요. 그러니까 어떻게 그 당시에 이렇게 멋지고 세련되고 간결하고 또 절실한 조형 언어를 이렇게 또 청동에다가 새길 수 있었을까 생각이 듭니다. 이것은 적어도 굉장한 문화적 집단 세력이 아니고는 이렇게 아름답고 완성도 높은 예술 작품 지금의 용어로는, 그 당시에는 예술이라는 개념이 없었겠지만 적어도 지금은 그렇게 부를 수 있다고 보는데 그런 조형 작품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저는 대단한 잠재력이 이미 있었다고 개인적으로 확신하고 있습니다. 선사시대부터 삼한시대 그러니까 원삼국시대라고 얘기하는데 이 또 사국시대의 가야를 포함해서 그리고 통일신라시대 발해 남북국시대라고 그러잖아요. 발해 유적 유물도 많이 드로잉하고 고려를 넘어오면서 고려 유물들은 의외로 북한에 많기 때문에 애석한 부분이 많더라고요. 언젠가 통일이 되면 저는 정말 그 통일이 되기를 바라는 사람인데 왜냐하면 아름다운 유적을 북한까지 보면 얼마나 감동이 될까 제가 중국을 통해서 압록강과 그 천지 백두산간을 이렇게 돌아서 본 적이 있어요. 또 광개토대왕비나 고구려 고분벽화 이런 걸 보고 싶어서 장군총이라든지 이렇게 북한을 못 가고 다른 나라인 중국을 경유에서 백두산을 가보니까 좀 착잡하긴 하더라고요. 통일이 되기를 가장 바라는 이유 중 하나는 북한에 있는 문화유적을 보고 싶은 마음이 간절합니다. 그래서 또 그렇게 고려를 드로잉을 좀 하다가 조선으로 넘어오면 정말 폭발적으로 아름다운 작품들이 많죠. 그중에 어느 날 분청사기로 또 이렇게 집중하게 됐어요. 제가 분청을 들여다보게 된 이유는 특히 분청의 편병은 이렇게 동그란 게 아니라 앞뒤가 납작하잖아요. 이렇게 거의 회화의 표면처럼 평면이 두 곳에 있어요. 근데 이런 구조를 그 당시에 도공분들이 만들어 낸 것도 물론 역사적인 전통도 있지만 본격적으로 아주 많은 양을 쏟아져 내는데 붓질로 과격하게 이렇게 한다든지 선각을 한다든지 그 유약을 덤벙 씌운다든지 이런 기법들이 500600년 지난 현대 서양 회화의 전위적인 회화방식하고 똑같거든요. 이분들이 현대 회화를 알아서가 아니고 또 현대 회화가 분청사기를 알고 흉내 낸 것이 아니라 우리는 시대와 장소와 관계없이 어떤 회화 행위와 표현에 있어서 인간의 잠재의식 속에 그런 재료를 다루는 것에서의 자유로움 그런 해방감 이렇게 멋지게 펼쳐 낼 수 있는다는 것이 저는 놀랍고 신기하고 아름다워서 100장 이상 계속 그리게 됐어요. 분청사기는 정말 이게 현대미술적인 입장에서 들여다보아야 할 만큼 어마어마한 잠재적 가치를 회화적으로 가지고 있다고 생각해서 출품하게 됐습니다.

 

김수연: 김혜련 작가의 작품에서 색채 드로잉은 큰 부분을 차지한다고 봅니다. 특히 무채색의 유물들에 새로운 색을 넣은 부분도 흥미롭습니다.


김혜련: 공책에 이 유물 드로잉을 7년에 걸쳐서 하게 되었는데 그 선은 일차적인 조형 언어로 그 시대적 감성이나 가치가 자기 발언을 하고 있다고 생각이 들어요. 제가 이 유물들에 대해서 제가 일차적으로 감탄한 것은 그 선을 사용하는 장인의 감성 이게 느껴져서 선을 모사해서 따라 하지 않을 수가 없었고요. 또 하나는 그 선들이 만들어낸 어떤 형태, 조형적인 형태의 간결성과 그 자유, 다양한 변주, 창의성이 굉장히 놀랍더라고요. 그러니까 제가 작품을 만들어 보는 사람의 입장에서 어떤 디자인이라고 말할 수 있는 그 외향적인 형태는 순간 매 순간 어떤 결정적인 이거냐 저거냐 매 순간 결정을 해야합니다. 그러니까 무한한 가능성이 있는 거예요. 어떤 동그라미 형태를 만든다든지 삼각형을 만든다고 했을 때 교재가 있는 것이 아니라 그때는 완전히 다른 세상이잖아요. 그런데도 그 시대에 그렇게 결정적으로 만들어 낸 형태가 저의 감탄의 대상이 돼서 제가 일차적으로 형을, 선을 이제 공책에 모사를 하잖아요. 그다음에는 대상을 보지 않고 대상의 이미지를 치우고 순전히 수채화 물감과 물, 붓 그리고 제가 일차적으로 만들어 놓은 드로잉만 제 앞에 책상 위에 간결하게 남겨놓고 그때의 제 감동, 기쁨, 제가 발견한 그 순간적인 일체감 감격 이것을 되살리기 위해서 색채는 자유롭게 재구성 하거든요. 친근한 전달 과정, 전달 매체로서 색채를 사용하게 되는 거죠. 형태는 그 유물에 대한 감동과 감탄으로 제가 그대로 모사를 하고 색채는 현대를 사는 저의 그 심장이 심장의 떨림을 저와 동시대에 사는 사람들과 공유하고 싶은 그 메시지로 색채를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니까 색채는 확실히 중요한 환기력이 있는 것 같아요.

 

김수연: 드로잉을 그린 재료들을 보면 선노트와 같은 전문 수채용 종이가 아닌 곳에 드로잉을 그리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김혜련: 처음엔 어떤 의도가 없었고요. 제가 책상 위에 이렇게 많이 가지고 있는 공책에 유물이 가지고 있는 이 아름답고 흥미로운 그 선의 양상을 한번 따라 그려보고 싶다라거나 혹은 도대체 그 장인은 무슨 마음으로 어떤 마음으로 이런 선을 선택했을까라고 감정 이입해 보고 싶다는 생각으로 연필이나 책상 위에 있던 펜으로 모사를 해보기 시작했어요. 제가 근사한 작품을 제작하는 게 목적이 아니라 고고학자나 역사학자들이 학문적인 개념을 노트에 언어로 쓰듯이 저는 이미지, 그 언어와 언어 사이에 빠져있는 혹은 언어로 걸러낼 수 없는 이미지의 영역이 있잖아요. 그 이미지의 영역을 추출해서 혹은 선택해서 학자들의 개념 언어처럼 공책에 바로바로 빨리 나열하고싶고 정리해 보고 싶고 감상하고 싶고 기록하고 싶었던 게 저의 원래 의도였기 때문에 구하기 쉬운 메모지나 값싼 공책에 그리는 것을 계속 해야 되겠다라는 나중에는 이제 의도가 생긴 거죠.

 

김수연: 유화와 먹을 오가며 또는 섞어서 작업을 하고 있는데 매질이 전혀 다른 재료를 활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김혜련: 제가 유화 작품에서 먹으로 바뀌었다기보다는 처음부터 유화 작업을 위해서는 항상 먹 드로잉으로 먼저 대상이 가지고 있는 적절한 선을 찾아내는 것에 관심이 많았기 때문에 이렇게 병행은 했었지만 그렇지만 오랫동안은 유화가 주 표현 매체였던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201415년 이즈음 문화재의 답사를 본격적으로 하고 자료를 정리하면서 제 속에 계속 쌓이는 어떤 조형적인 내용 이것을 표현해보고 싶어서 먹으로 본격적으로 더 작업하게 됐거든요. 먹선이라는 것은 어떤 형태를 즉각즉각 실험하고 반응하고 고민하는데 아주 유효한 재료이더라고요. 그러니까 나무 판에 먹을 바로 그리기도 하고요. 또 캔버스 위에 캔버스 유화를 위한 젯소 칠이 되어있는 캔버스 천 위에 먹 드로잉을 하기도 하고 유화를 먹 위에 그려 보기도 하고 그 관계들을 계속 의식하면서 같이 병행하고 있습니다.

 

김수연: 앞으로의 작업 계획은 어떻게 되시나요?


김혜련: 앞으로 이 유물 드로잉을 끊임없이 하겠지만 긴장감이 가득 찬 먹선과 같은 그런 유화적 필선을 구사해 보고 싶은 게 개인적으로 정말 큰 소망입니다. 근데 유화의 필선이 사실 쉽지가 않습니다. 캔버스 크기, 무게, 마찰력 그리고 그 테레핀이냐 매제를 무엇을 쓰느냐에 따라 체력이 엄청나게 소모가 되고요. 붓을 닦기도 힘들고 그리고 일단 기름, 물감은 화학 성분이 있기 때문에 독성도 많이 들어 있거든요. 공간이 넓고 환기가 잘 되는 그런 작업실도 있어야 되고 체력도 있어야 되고 지구력도 있어야 되고 그러니까 마치 축구선수 같아요. 저는 한때 이런 생각을 했어요. 유화 작업을 한다는 것은 시인과 축구선수의 결합이다. 그러니까 내 심정은 시인이지만 축구선수가 몇 시간씩 못 먹고 못 마시고 전력질주하고 탈진하잖아요. 그런 식으로 체력이 많이 요구 되어지는 것이 캔버스 큰 유화 작품이거든요. 그런데 앞으로 한 10년 정말 이렇게 힘 있는 작업을 할 수 있다면 그런 먹선, 신비한 먹선 같은 것이 느껴지는 그런 유화 작품을 해보고 싶고 또 먹 작업도 서양 현대 회화의 전위적인 격렬함이라 그럴까요. 용기, 배짱, 대담성, 과감한 실험성이 가득한 먹 작업을 같이 해보고 싶은 게 작가적인 꿈입니다. 최선을 다해 볼 생각입니다.

 

 -양주시립 장욱진미술관 <2022 심플전> 작가인터뷰


Subject matters and media

I mostly work with oils to paint ordinary subject matter like still lifes, portraits, and landscapes. I don’t focus much on meticulously representing the outer appearance of my subjects. I’ve always been interested in the special materiality of the media: the movement of the paintbrush, the unique materiality of oils, the friction you feel on the surface of the canvas, the juxtaposition of different colors. I like working and experimenting with the form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so I was naturally constantly drawn to semi-abstractism. Also, when I studied painting at Berlin University of the Arts, I always began by making sketches with a calligraphy brush and ink on Korean paper whenever I began work with new subject matter. I’m not sure how to put this, but there is an emotional connection that I feel with the form of the subject matter. My feelings, the emotions that derive from my ego looking at the subject matter, and the unique message that I pick up from the subject matter all interconnect at some point. And I think ink lines are ideal for experimenting or focusing on this. Ink is a familiar medium in Korean culture. And I may have been born with that particular affinity towards ink, or it might be cultural, but if you look at the early days of modernism, French and German masters like Henri Matisse and Emil Nolde not only worked with oils but also with ink, so I was able to work with an open mind without separating western art off from eastern art.

 

 

The meaning of 'SIMPLE’

I had the opportunity to really thoroughly appreciate Chang Ucchin’s works through this exhibition. This concept of simplicity that he espoused isn’t about the simplicity of his artworks, but more of a training process or a sort of hardship one goes through in life to reach the realm beyond a certain threshold. Like the Buddhist sarira, I think a certain view of the world was compressed into the term simplicity. It's not necessarily simplicity of form but the psychological state that he aspired to reach that is simplicity itself, I think. If you ask me how I relate to the concept of simplicity, then I’d say, the world we live in, the historical turmoil we went through, all of these complex and difficult issues are intensifying as time goes by. So simplicity, I find, isn’t a formal, artistic value but is increasingly becoming an existential value. If we don’t keep things simple, then the world becomes completely inhospitable, so I think it’s an absolute value of the mind. 



Connection between Artists

When Chang uses ink, he is completely unreserved in representing the outer appearance of natural subjects, which is why I believe he found different values in maneuvering his brush strokes. I read somewhere that painting with ink was Chang’s process of training his mind, and this, in fact, is something that I’ve been soul-searching and agonizing over for a long time. So, I think in that sense we are artistically connected. 

 

Gojoseon, Bronze Mirror and Water Color Drawings

When I went to study in Berlin right before the unification of Germany in 1990, I didn’t know that I would stay that long. I ended up staying there for ten years to study and work. And when I came back to Korea in 2001, the first thing I wanted to do was visit the museums and historic sites. I visited a lot of museums and historic sites in Europe every chance I got, but I realized that I didn’t know much about Korean culture and history. I felt ashamed and embarrassed, and I had no excuse for it. So whenever I had free time on my hands, or went mind, and this, in fact, is something that I’ve been soul-searching and agonizing over for a long time. So, I think in that sense we are artistically connected. 

 

Gojoseon, Bronze Mirror and Water Color Drawings

When I went to study in Berlin right before the unification of Germany in 1990, I didn’t know that I would stay that long. I ended up staying there for ten years to study and work. And when I came back to Korea in 2001, the first thing I wanted to do was visit the museums and historic sites. I visited a lot of museums and historic sites in Europe every chance I got, but I realized that I didn’t know much about Korean culture and history. I felt ashamed and embarrassed, and I had no excuse for it. So whenever I had free time on my hands, or went on holiday with family, I planned outings to historic sites around Korea. The more I went on these trips, the more I was able to grasp the general picture and wanted to know more about the differences between eras, which led to where I am now. When I was in Europe, studying in Germany, there was an eleven-day-long excursion to historic sites around Rome as a part of a course I took for my doctorate. I was shocked when I saw Carravaggio’s tenebrism paintings from the 17th century, and I think it was just what I needed. That was the first turning point in my career. The second was when I saw the Baekje Gwaneum in Nara, Japan. I began to research and sketch the motifs on the crowns worn by the Baekje Gwaneum or the Guse Gwaneum and tracked them all the way back to the comb pattern pottery. So I ended up drawing hundreds of colored drawings, and at some point, I realized I was retaining all this information, but to my dismay I was unable to discuss it or communicate about it with anyone. So I decided to resolve this issue by making ink paintings, and deal with the issue from a figurative perspective. I wanted to express all this information that I’d accumulated in patterns, and in 2018, I was able to hold a collaborative exhibition called Arts and Code: Comb Pattern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ith this amazing collection of comb patterned pottery excavated from Amsa-dong. Next I held a solo show entitled, Arts and Code: Goguryeo Roof Tiles at the Jeongok Prehistory Museum. The third show was called Arts and Code: Gojoseon that featured 24 works. I went on many trips before I was able to come up with a proper piece of artwork, and I also made hundreds of drawings to research the forms. I wanted to extract the figurative language that was repeatedly used among the Korean people over thousands of years on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in the Manchuria and Yodong regions, like a scientist conducting experiments. 

 

The bronze mirror is like a cultural index or index of artifacts of bronze era Gojoseon. When I was in school, I learned a little bit of Korean history, and over the few decades I spent training to become an artist, modern archeology has made leaps and bounds. So a wealth of artifacts has since been excavated by archeologists, and museums all around Korea were elevated, with many artifacts becoming available to the public eye - and I’m really enjoying looking at them at the moment. I made dozens of colored drawings of bronze mirrors I found from Jeollanam-do to Chungcheong-do all the way along the Liaodong Peninsula. And I made drawings of them. The various patterns - the repeated triangular patterns that can be seen in the comb patterned pottery or x-shaped patterns - these are what I’ve immersed myself in. I was in awe of how the people back then were able to engrave this stylish, sophisticated, simple and earnest figurative language into bronze. I believe that without an incredible collective cultural power, they wouldn’t have been able to come up with such beautiful and sophisticated artistic work. There probably wouldn’t have been the concept of art back then, but I think we can call it that now. The fact that they were able to create such formative artwork, I believe, is indicative of how much potential they already had. From the prehistoric times to the Samhan period, which is called the proto Three Kingdoms period, the Four Kingdoms period including Gaya, and the Northern and Southern States period when Unified Silla and Balhae coexisted... I drew a lot of artifacts from Balhae, and as for the Goryeo period, a lot of the artifacts from that time are in North Korea, which is really unfortunate. Some day when the two Koreas reunite - I’m an avid supporter of reunification - I think it would be so touching to see artifacts all the way in North Korea. I’ve been to the Amnokgang River, Baekdudaegan Mountain range and Heaven Lake through China. I wanted to see the stele of King of Gwanggaeto, the Goguryeo tomb murals, and the Tomb of the General, but it was heartbreaking not being able to go to North Korea, but instead having to go to China to see Baekdusan Mountain. One of the biggest reasons to hope for reunification is that I would really like to see the historic sites in North Korea. So I focused on drawing artifacts from Goryeo, then if you move into the Joseon era, there are some explosively beautiful works. Then one day, I started focusing on buncheong ware. The reason why I started to look into buncheong ware was because the buncheong flat bottles aren’t round but are flat. They have two flat surfaces, much like paintings. The potters who came up with this shape must have had a historical tradition of doing so, but they created a lot of these flat bottles, and added bold brush strokes, line carvings and dip glazed their pots. Fast forward five or six centuries to today, and the techniques they used are almost identical to the techniques that were used by modern western avant-garde painters. These potters had no way of knowing about western modern paintings, nor did the western modern artists draw inspiration from buncheong ware. I think that when it comes to the act of painting, people unconsciously feel a sense of freedom and liberation in using these materials regardless of when or where they are from, and that is surprising and beautiful to me. That is why I painted more than 100 pieces. I think that Buncheong ware has an incredible amount of latent painterly value - so much so that I think we should look at them in terms of contemporary art. 

 

Heryun Kim's Colorful watercolor drawings

I painted artifact paintings in my notebook over seven years, and I think that the lines have a voice of their own that speaks of the sensibilities and values of the times through the language of form. I was in awe of these artifacts because I could feel the sensibilities of the craftspeople who formed these lines, so I couldn’t help but draw them and copy them. Another reason is that the shapes that the lines form, the simplicity and freedom of the formal shapes, their different variations, and their creativity were astounding. So, from the perspective of someone who is making art herself, in creating the outer appearance that perhaps can be called design - you constantly need to make decisions, is it this or that? And that means that there are an infinite number of possibilities. Say, you’re making a circle or a triangle, there isn’t a textbook for that, but you create completely different worlds. And still, even back then, the forms that they decided on have become the object of my admiration, and I’ve been copying these shapes and lines in my notebook. Then the next step is to not look at the objects themselves but to only have my own drawing with watercolors, water, and a brush on my desk. I try to recall how moved I was, the joy, the instant unity I felt, and the overwhelming feeling when I first saw the object, so I choose the colors as I please. Color is a means to add familiarity when conveying the images. The form reflects the overwhelming feeling I felt when I saw the artifact, and the colors express my desire to share that excitement with my contemporaries. I think color has the power to recall feelings and memories.

 

Purposes on drawings and medium

I didn’t have a particular reason at first. When I sat at my desk with a pile of my notebooks filled with drawings of artifacts, I felt the urge to copy the beautiful lines from the artifacts or meditate on what the craftsperson was thinking and feeling in choosing such a line, which is why I started to copy them with a pen or pencil I had on my desk. It wasn’t my goal to create a masterpiece. Just like archeologists and historians write down academic concepts in their notebooks, I recorded things that go beyond words, or things that can’t be conveyed in words into images. I extracted the things in this realm of images or selected elements from it, and recorded them in my notebook to organize them and appreciate them. That is why I chose easily accessible memo pads and cheap notebooks. 



Ink and Oils

I didn’t necessarily change my medium from oils to ink, but I always started with ink drawings before I picked up oils because I was interested in searching for the most fitting lines for a certain subject matter. So I could say I used both, but oil was the medium of choice for a long time. But around 2014 and 2015, I began to more actively explore historical sites and organize the information I collected, and to express the forms that were accumulating within me, which is why I began to use ink more. I find ink to be really useful when you’re trying to quickly experiment and react and ponder. This is the very reason why I sometimes apply ink straight onto wooden panels. I sometimes use ink on canvases that are gessoed for painting with oils, and I sometimes use oils over the ink lines and remain aware of their relationship as I work with both media. 



Plans for next process

I will continue to make artifact drawings, but I would really like to create lines in oil that feel just as tense as they feel in ink. But making lines in oil isn’t easy. The size of the canvas, the weight, the friction, and depending on the medium - whether you’re using turpentine or something else - all this can be extremely physically draining. Washing your brush alone takes a lot of energy, and the oil medium and the chemicals involved in using oils are quite toxic. You need a studio that is well ventilated, and physical stamina, just like a soccer player. This is what I thought at times. Working with oil paint is like combining the traits of a poet and a soccer player. I have the heart of a poet, but if a soccer player doesn’t eat or drink properly, they will surely burn out soon. Likewise, working with oils on large canvases requires a lot of physical stamina. But if I were able to do such works for the next ten years, then I would like to create lines that feel just as mysterious as ink lines. And also there’s a western avant-garde-like intensity to ink work. I want to create ink work that is full of courage, guts, boldness, and that spirit of experimentation. I’ll do my very best.


- artist interview with curator KIM Suyeon in Chang Ucchin Museum of Art Yangju Citiy

 

 

 

 


Board Pagination ‹ Prev 1 Next ›
/ 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Copyright ⓒ 2013 heryun-kim.com. Allrights reserved.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