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완전한 그릇> 2014. 3. 3. 김혜련
애초에 그 그릇은 물을 위한 제기다. 하얗게, 간단한 듯, 손끝 맛이 남아있는 겸손한 크기와 모양을 가지고 있다. 아마도 100년 전에 만들어진 것 같다. 제사가 목숨같이, 조상에 대한 의례가 모든 사람들의 숨소리 같이 필연적인 조건으로 떠받들어지던 시대. 100년이 긴 세월인가, 이제 우리는 그런 세상에 살지 않고 있다. 제사는 개인의 종교에 따라, 가족 구성원의 형편에 따라 결정되어 질 수 있는 선택의 대상이며 그릇들은 다른 모양을 띄며 넘쳐나고 있다. 생각들이 모여지지 않고 삶들이 들떠서 그저 동물과 로봇 사이에서 목숨을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그것도 잠깐, 우리 모두는 이 허망하고 불안한 삶의 그물에서 언제든지 내버려지고 마는 부스러기 같다.
호흡을 생각해 보자. 긴 숨과 짧은 숨, 들숨과 날숨, 들이쉴 때는 육체가 기뻐하고 내쉴 때는 마음이 평온을 되찾는다. 내쉴 때가 더 힘들고 중요한 것을 어느 순간 깨닫게 된다. 내쉴 때 비로소 몸의 세포 속으로 빛과 같은 환한 공간이 생겨나는 것 같다. 자유라는 것이 정말로 존재한다면 이 공간 속에서 자라날 것이고, 영원한 잠이 이렇게 밝다면 육체의 소멸이 끔찍하지 만은 않을 것 같다. 그렇게 인간의 정신은 불멸일까?
물을 담는 제기, 물은 신비롭다. 형태가 없고 투명하며 움직일 때 파동을 이룬다. 알갱이가 아니라 덩어리로 움직이지만 흘려가는 상태는 매우 미학적이다. 갈증이 날 때 들이키는 물은 얼마나 또 쾌적한가? 창세기에서도 물은 처음부터 있었던 세상의 전제조건이었다. (1장 2절; 하나님의 영은 수면 위에 운행하시니라.)
동물의 피가 아니라 물로 제사를 지내는 족속이라면 불멸의 정신에 가까이 있는, 참으로 멋진 족속이라 하겠다. 이 때 담기는 물은 그 그릇 속에서 이미 물질이 아니다. 물 알갱이 사이사이로 환한 빛이 가득 차서 그릇은 비로소 지극한 마음이 담기는 인간적인 조건이 된다.
손가락 사이사이로 빠져나가는 물을 바칠 수는 없지 않은가? 우리 삶이 유한한 것처럼 그릇은 적당한 만큼만 담아주고 있다. 그렇게 이 그릇은 아름답다. 적당히 투박하고 적당히 얌전하며, 눈을 감고 모양을 만들어낼 수 있을 만큼 배짱도 두둑한 그 누군가의 손맛이 남아있다. 100년 전의 하얀 제기, 물을 담는 그릇, 우리 삶이 부스러기가 되지 않기 위해, 생각을 모으고 마음을 담는 그릇. 이 하얀 도자기는 보고 또 보아도 질리지 않는다. 마음이 담기는 완전한 그릇이다.
<A Complete Vessel> 2014.3.3. Heryun Kim
From the very beginning, the vessel keeps water as a utensil for ancestral rites. As white, simple, and light as it can be, its size and shape remains modest. It is assumed to be made about hundred years ago. We no longer live in a period of holding the ceremony as an inevitable ritual carried by a tremendous awe toward ancestor like a hundred years ago. Rather, while many different shapes of vessel overflow nowadays, the rite has become the subject of choice depending on one’s religion and the circumstance among family tradition. Thoughts having gone astray and hovering aimlessly among the will-less beings. However so momentary, we all are fragile human beings caught in this futile and insecure web of life.
Let us consider breathing: inhalation, exhalation, deep, or short. The body finds rest while inhaling, and the mind retains in piece while exhaling. Suddenly, one realizes the moment of exhalation is harder than the other, but more crucial. Then, the space bright as light seems to emerge within a body cell at last. If freedom truly exists, it would be here where it grows, and the expiration of body would not be so tragic if the eternal sleep could be this bright. Is the human mind immortal as it can be?
A Vessel of Water: water is mysterious substance. It is formless, transparent, and creates wave in its flow. The way it flows is very aesthetic. How refreshing is water when we are thirsty? Even in Genesis, water was the precondition of everything ever since the very beginning of world. (Chapter 1, verse2; the Spirit of God was hovering over the waters.)
I rather say if there is any human race performing a rite with water instead of animal blood, it tends to reflect more of immortal mind. In this case, water is no longer a matter but something spiritual. With the bright light filling in every in-between of water particles, the vessel becomes a very humane condition where the utmost mind resides at last. The water seeping out of finger certainly cannot be used for the service. Just how finite our life is, the vessel is capable for holding only a certain amount. In such way, the vessel is beautiful, modestly crude and neat, leaving plenty of courage for any external transformation. A white vessel of a hundred years ago, a utensil for water, it cherishes our life while gathering and carrying the inner mind. Thus, the white ceramic remains ever anew. It is indeed, a complete vessel which carries the mind.
2022 artist interview 작가인터뷰 <2022 SIMPLE>
2022 by Geunjoon Lim 임근준
2022 artist interview <Birds of Mahan>작가인터뷰<마한의 새>
2022 by Geunjoon Lim 임근준
2022 by Dongkook Lee 이동국
2022 by Dr. Seunghyun Lee 이승현
2021 by Chung-Hwan Kho 고충환
2019 artist note <Patterns-the Beginning of Art>작가노트 <문양-예술의 시작>
2018 artist note <Hwangnamdaechong>작가노트<황남대총>
2021 artist note <Paintings on Dolmen>작가노트<고인돌의 그림들>
2019 Neolithic Studies by Heryun Kim 김혜련 <신석기연구>
2019 by Dr. Gerhard Charels Rump
2018 by Dr. Britta Schmitz
2017 by Christian Kneisel
2016 by Dr. Kim Mi-jung 김미정
2014 by Dr. Kim Mi-iung 김미정
2014 by Prof. Young-Paik Chun 전영백
2014 by Odile Crespy
2011 by Prof. Kai Hong 홍가이
2009 by Prof Woohak Yun 윤우학
2008 by Katrin Dillkofer
2007 by Prof. Youngmok Chung 정영목
2005 by Dr. Gerhard Charels Rump
2001 by Dr. Gerhard Charels Rump
2000 by Dr. Gerhard Charles Rump
1994 by Prof. Klaus Fussmann
2020 artist note on <Gojoseon and Hangeul> 작가노트 <고조선과 한글>
2017 artist note on <Amnokgang> 작가노트 <압록강>
2015 artist note on <Lighter Than the Wind>작가노트 <바람보다 가벼운>
2014 artist note on <Golden Tears> 작가노트<황금눈물>
20014 artist note on <The Complete Vessel>작가노트<완전한 그릇>
2009 artist note on <DMZ 2009>작가노트<비무장지대2009>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