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바람보다 가벼운 2015. 6. 25. 김혜련
연을 날려 본 사람은 생각보다 연이 힘이 세다는 사실에 약간 당황할 수 있다. 실이 길수록, 연이 높이 올라갈수록, 끈을 잡고 있는 상황이 그리 간단하지 않다. 바람에 날리는 연을 감상하고 그 부유함을 즐기기 보다는 끈이 끊어질까봐, 실이 엉키게 될까 봐, 두 팔에 힘이 잔뜩 들어가게 되고 힘이 버거운 경우에는 이리저리 다리를 움직여 바람과 씨름하게 된다.
‘잎새에 이는 바람’, 릴케의 한 싯귀절인데 바람이 선선하게 불고 푸른 나뭇잎이 살랑거리는 날에는 나는 이 싯귀절이 생각난다. 멋있다. 잎새에 이는 바람, 잎새는 바람이 있어서, 바람은 잎새가 있어서, 우리는 이렇게 멋진 순간을 만날 수 있다. ‘아함경’의 어느 구절인지, 하늘에서 축복이 내려오는 순간을, 위에서부터 아름답고 큰 보자기가 꽃비와 함께 내려온다는 표현이 있었다. 참 아름답다. 하늘에서 내려오는 큰 보자기, 아마도 나는 이것 때문에 커다한 한지 연을 만들었고, 정말로 나 자신만을 위한 사치스러운 일인 전시도 했다. 베를린에 두 달 넘게 가 있는 동안에도 기어이 이 큰 연(340 x 340 cm)을 파주 내 작업실, 높다란 천장에 매달아 놓고 기어이 나를 기다리게 했으니 말이다.
반년 동안 파주작업실에 용궁과 연을 설치해 놓았었다. 바라보면 행복하고, 힘이 나고, 웃음이 지어지고, 어떤 경우에는 작업실 바닥에 담요를 깔고 드러누워서 연을 올려다보았다. 아, 이렇게 좋을 수가, 용궁은 어린 시절 두꺼운 책들로 미니 집을 만들어 놀던 생각이 나게 하고, 이불 장롱 속에 숨어 낄낄대던 추억을 떠올리게 한다. 그 위에 살짝 떠 있는 조각보 연은 가볍고, 팽팽하고, 아주 미세하게 움직였고, 날씨에 따라 빛깔이 달라졌다. 햇살이 반투명의 한지 사이로 관통할 때는 내 몸도 따라서 가벼워지는 것처럼 느껴졌다. 용궁이나 연은 제작하는 과정이 무척 힘이 들고 비용도 어마어마하게 든다. 반면 전시할 공간과 기회는 적고 간단히 보관할 수도, 쉽게 판매할 수도 없다. 나는 왜 이렇게 무모한 짓을 하는 것인가?
나는 얼마 전부터 내 자신의 행위로부터 결코 소외되지 않는 작업만을 하기로 단단히 결심했다. 무슨 뜻이냐 하면 절대적으로 나 자신을 위한 작업을 한다는 것이다. 이기적이거나 배부른 작가여서가 아니라, 잡다한 목적을 일체 버린다는 뜻이다. 나 자신 속에 있는 진귀한 정원을 거닐 때, 그 속에 완전히 몰입할 때에만 비로소 행위와 의식이 일체가 되고 내가 행복해지는 것이다. 역사가 단절되고 나라가 분단되고 이념과 통증 앞에서 휘청거릴 때에도 오로지 내 자신이 ‘바람보다 더 가벼운’ 존재가 되기를 원한다. 내 작업실에서 용궁 위의 연은 사라졌지만 바람보다 더 가벼운, 백 개의 연들이 새로 태어나 강 위로 날아갈 것이다. 꽃비가 되어 흩어질 것이다.
-2015 파리 한국문화원 개인전 도록에 수록된 작가노트
Lighter Than the Wind 2015. 6. 25. Heryun Kim
Those who have flown a kite before may have been startled by its power to resist. The longer the string and the higher the kite flies, the harder it becomes to wield. Rather than calmly taking in the sight of the kite soaring effortlessly above, your arms tense up at the fear of the strings breaking or tangling, and if your arms aren't strong enough, your feet have to shuffle in a wrestling struggle with the wind's whims.
"Wind rustling through the leaves-a line from a Rilke poem that comes to mind every time I see rich, green leaves fluttering in a cooling breeze. Sublime. Wind rustling through the leaves . . . .Because the leaves are granted the wind, and the wind the leaves, we can witness the sublime moment when they come together. I can't remember which passage from Agama it is, but it describes the moment when a blessing reaches us from the heavens as a big and beautiful cloth accompanied by a whirlwind of falling flower petal. It's beautiful. A bundle-cloth from the heavens—that's probably why I decided to make a sizable kite out of hanji (traditional Korean pape), and probably why I hosted an indulgent exhibition solely for my own sake, especially considering the huge kite in my Paju studio, which I left hanging from the lofty ceiling for over two months while I was away in Berlin.
For six months, I turned my studio into a Palace of See King enlivened by kites. Looking at my work made me happy, gave me strength, made me laugh—sometimes I'd even lay a blanket on the floor, lie down, and look up at all those kites. Ah . . . so nice . . . My private little palace reminded me of the miniature house I made as a child by stacking my thickest books, all those times when I'd hide in my wardrobe and giggle to myself. One kite was crafted with patchwork—light, taut, and delicately mobile—and seemed to change its various hues according to the weather. Every time the sunlight passed through the kites' translucent hanji material, my own body felt lighter. Crafting kites and a personal palace is extremely hard work, and takes a great deal of money.
For some time, I'd wanted to engage in a project that wasn't isolated from my own actions. Simply put, I wanted to create a piece solely for myself. It's not because I'm selfish or egotistical; I merely wanted to remove all excess motives. When I take a walk through the priceless garden deep within myself, it is only when I'm completely absorbed in that moment do my actions perfectly coincide with my consciousness, bringing me happiness. Even as history becomes interrupted, the nation remains divided, and everything stumbles amid a mess of ideologies and pain, I strive for my inner self to become lighter than the wind. Although the palace and kites are no longer in my studio, a hundred kites lighter than the wind will one day rise again and soar over the river. They'll transform into a light shower of falling flower petals and disperse.
2015 in exhibitionscatalog of Centre Culturel Coreen
2023 artist note <Petrogryoh in Byeokryeon Village> 작가노트 <벽련마을 암각화>
2022 artist note <the black color, line drawing and materials of art> 검은 색, 선 긋기, 예술의 물성
2022 artist interview 작가인터뷰 <2022 SIMPLE>
2022 by Geunjoon Lim 임근준
2022 artist interview <Birds of Mahan>작가인터뷰<마한의 새>
2022 by Geunjoon Lim 임근준
2022 by Dongkook Lee 이동국
2022 by Dr. Seunghyun Lee 이승현
2021 by Chung-Hwan Kho 고충환
2019 artist note <Patterns-the Beginning of Art>작가노트 <문양-예술의 시작>
2018 artist note <Hwangnamdaechong>작가노트<황남대총>
2021 artist note <Paintings on Dolmen>작가노트<고인돌의 그림들>
2019 Neolithic Studies by Heryun Kim 김혜련 <신석기연구>
2019 by Dr. Gerhard Charels Rump
2018 by Dr. Britta Schmitz
2017 by Christian Kneisel
2016 by Dr. Kim Mi-jung 김미정
2014 by Dr. Kim Mi-iung 김미정
2014 by Prof. Young-Paik Chun 전영백
2014 by Odile Crespy
2011 by Prof. Kai Hong 홍가이
2009 by Prof Woohak Yun 윤우학
2008 by Katrin Dillkofer
2007 by Prof. Youngmok Chung 정영목
2005 by Dr. Gerhard Charels Rump
2001 by Dr. Gerhard Charels Rump
2001 by Dr. Friedrich Rothe
2000 by Dr. Gerhard Charles Rump
1994 by Prof. Klaus Fussmann
2020 artist note on <Gojoseon and Hangeul> 작가노트 <고조선과 한글>
2017 artist note on <Amnokgang> 작가노트 <압록강>
2015 artist note on <Lighter Than the Wind>작가노트 <바람보다 가벼운>
2014 artist note on <Golden Tears> 작가노트<황금눈물>
20014 artist note on <The Complete Vessel>작가노트<완전한 그릇>
2009 artist note on <DMZ 2009>작가노트<비무장지대2009>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