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 Britta Schmitz


Im zwanzigsten Jahrhundert verliert das Tafelbild seinen illusionistischen Charakter, es materialisiert sich als Objekt, gewinnt folgerichtig haptische Qualitäten, teilt sein Dasein im Raum mit den anderen Gegenständen und wirkt durch diese Gemeinsamkeit nur um so fremder, irritierender. Es verliert seinen Rahmen-zur gleichen Zeit, in der die Skulptur auf seinen Sockel verzichtet. An die Stelle des aussondernden, positionsbestimmenden Rahmens tritt ein Kontext, dessen Funktion dialektisch sein kann: Das Kunstwerk steht in irritierendem Kontrast zu seiner Umgebung, oder aber, umgekehrt, ein an sich vertrautes Objekt wird allein durch Kontextverschiebung zum Kunstwerk.

Heryun Kim hat in eindrucksvollen Arbeiten in Tusche  auf Papier die Natur  koreanischer Ornamente auf der Reise zu neuen Kontexten und im Austausch mit vergessenen und lebendigen Erinnerungen begleitet und im Austausch mit ihnen zu einer neuen Lesart überführt. Die malerische Könnerschaft ist intuitiv und dient dazu, strukturelle Starre zu lockern und gerade die Flüssigkeit der Strichführung ruft in diesen großen Wandarbeiten eher den Eindruck des Filigranen hervor.

Sie hat in detailreichen Nachforschungen für bestimmte historische Symbole oder Elementarformen eine Verbindung hergestellt und einen Wiedererkennungseffekt eingesetzt.  Es ist ein Akt kultureller Rückgewinnung, eine simple und doch äußerst effektive Geste, die eine symbolische Anwesenheit des kulturellen Horizontes evoziert. Die Künstlerin vermischt die Codes der jahrtausendealten Kultur  mit Begeisterung nicht etwa um den Betrachter zu verwirren, sondern um Möglichkeiten für neue Assoziationen und Interpretationen zu eröffnen. Sie stellt ihre kulturelle Identität in den Mittelpunkt der seriellen Arbeitsweise.

Heryun Kim schafft durch ihre Bilder einen Ort, der buchstäblich wie ein Reservat aufgebaut ist. Sie bedient sich der traditionellen Muster, die oft fast verschüttet sind, als Möglichkeiten des Dialogs und der Vergewisserung der Verbundenheit mit ihrer eigen Kultur. Wenn der Betrachter die Details, die Dinge nicht ganz erfassen kann, dann ist aber trotz allem die Einsicht vorhanden, dass jeder zur Annäherung Offenheit bewahren muss, um die verschlüsselten Schichten der Arbeiten zu entwirren, ebenso wie Heryun Kim ein gewisses Maß an Unbestimmtheit und Doppeldeutigkeit zugelassen hat.

Von Anbeginn leben wir in einer Kultur der Dinge. Die Dinge aber sind und bleiben nicht unter sich. Wir bedienen uns ihrer und doch haben wir häufig das Gefühl, sie bedienen zu müssen. Unser Verhältnis zu den Dingen ist nicht neutral. In unserem seelischen wie geistigen Haushalt vertreten sie ebenso die Welt wie uns selbst. Daran, mit welchen Dingen wir uns umgeben, wie wir mit ihnen hantieren, wie wir sie in ihrer Gestalt betrachten, zeigt sich, in welcher Kultur wir leben und auf welche Weise wir bei ihnen zuhause sind.

Heryun Kim hat mit ihren zahlreichen Arbeiten immer wieder ihre eigene Kultur und seine Geschichte angesehen und Bilder geschaffen, die der Flüchtigkeit der momentanen Gegenwart etwas Bleibendes geben und den Wert der kulturellen Heimat schätzen.

 

-2018 Brochure of collaboration exhibition "Arts and Code" in National Museum of Korea

 



브리타 슈미츠  (Dr. Britta Schmitz)


20세기에 이르러서 패널화 (캔버스 이전 나무판에 그렸던 회화)는 자신의 환영주의 (幻影主義, illusionism, 삼차원적 시각적 효과를 만드는 회화적 기법)적 성격을 잃어버렸다. 스스로 물질이 되어 하나의 오브제가 되었고 그 결과 촉각적 성질을 갖게 되었다. 자신의 존재감을 공간 속 다른 사물들과 공유하게 되는데 이러한 공유성으로 말미암아 패널화는 더욱 더 낯설고 불편스러운 효과를 얻게 되었다. 조각 작품이 자신의 받침대를 포기한 바로 그 시점에 패널화는 자신의 액자를 버린 것이다. 내부와 외부를 구별하고 그림의 지위를 결정했었던 액자 대신 변증법적 기능을 가지는 특정 문맥이 그 자리에 들어서게 된다 : 주변 환경과 전혀 어울리지 않게 예술작품이 대립적인 위치를 차지하거나, 또는 바로 정 반대로, 익숙한 평범한 사물이 오롯이 문맥전환을 통해서 예술 작품으로 탄생되는 것이다.

 

종이와 먹으로 이루어진 김혜련의 감명 깊은 작품들은 한국 문양의 천연상태가 새로운 문맥을 만날 수 있도록 여행을 떠나게 해준다. 잊혀져 버렸던 생동감 넘치는 기억을 되찾게 되찾은 기억과의 주고받음 속에서 우리로 하여금 새로운 독해법을 만나게 해준다. 그녀의 회화적 역량은 직관적이며 이러한 회화적 능숙함이 작품 구성상의 경직성을 부드럽게 이완시켜 주고 있다. 바로 이런 붓질의 유연함으로 인해 이들 대규모 벽화작품이 오히려 금실세공 같은 인상을 풍기게 되는 것이다.

 

그녀는 역사 속 특정시대의 상징들 또는 원초적 형태들에 대해 매우 자세한 조사를 해왔고 이러한 풍부한 연구를 통해 연결고리를 찾아내었으며 그것들을 재인식하게 만드는 효과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것은 단순하면서도 매우 효과적인, 문화적 지평의 상징적 현존을 소환시키는 몸짓으로서, 문화적 재탈환의 행위이다. 작가는 수천 년 된 역사의 문화적 코드들을 다양하게 혼합하지만 관람자에게 혼란을 주기보다는 새로운 연상 작용들과 해석 가능성들을 제공해주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연속적인 작업방식의 중심에는 작가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이 자리 잡고 있다.

 

김혜련은 자신의 회화에서 글자 뜻 그대로 하나의 특별보호구역같이 구성되어진 어떤 장소를 창조해내었다. 그녀는 거의 생매장 당했던 전통문양에 자신이 속한 문화의 독자성과 대화할 수 있도록 가능성을 만들어주고 있으며, 문화적 뿌리와의 결속력에 확신을 헌정하고 있다. 관람자가 작품 속 세부내용을 일일이 다 파악하지 못할지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품 내 암호화된 층위들을 풀어내기 위해서는 누구나 열린 태도로 가까이 다가가야 한다는 어떤 통찰력이 생겨난다. 마치 작가 자신이 불확정성과 중의성을 일부러 어느 정도 적용했던 것처럼.

 

처음부터 우리는 사물들의 특정 문화 속에서 살고 있다. 그런데 사물들은 그 자체로 존재하지 않으며 그렇게 지속될 수도 없다. 우리는 사물들에 봉사하고 있으며 그렇게 해야 될 것 같은 느낌을 실제로 자주 받는다. 사물들에 대한 우리들의 관계가 중립적이지 않은 것이다. 사물들은 우리의 영적인 또는 정신적인 운영 상태 속에서 마치 우리 자신들인 양 그렇게 세계를 대변하고 있다. 우리가 어떤 사물들과 마주하고 있는지, 우리가 그 사물들을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우리가 그 형태 속에서 무엇을 바라보고 있는지, 이러한 질문들에서 비로소 우리가 어떤 문화권에 살고 있는지, 어떤 방식으로 자신의 문화에 친근감을 느끼게 되는지를 알게 되는 것이다.

 

김혜련은 그녀의 수많은 작업들을 통해 자신의 문화적 고유성과 역사성을 항상 다시 주목하며 현재라는 시간의 덧없음에 영속성을 부여하고, 자신의 문화적 본향에 커다란 가치를 발견하는 그러한 그림들을 창조해내고 있다.

 

-2018 국립중앙박물관 협업전시 "예술과 암호" 전시 브로쉐어

 

 

글쓴이 브리타 슈미츠 박사 (Dr. Britta Schmitz) 는 베를린 국립 현대미술관인 함부르거 반호프 미술관에서 28년간 수석큐레이터로 활동하며 게하르트 리히터, 시그마 폴케, 사이 톰블리 전시 등 수많은 중요한 국제적 전시를 저술 및 출판편집과 같이 진행했다. 현재 여러 국제 예술위원회의 이사이자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2021-02-20 15;09;54.PNG


Board Pagination ‹ Prev 1 Next ›
/ 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Copyright ⓒ 2013 heryun-kim.com. Allrights reserved.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