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2023. 3. 13. 경남도민일보 "남해 돌창고 올 해 첫 기획 돌돌돌전" 백솔빈 기자
2022. 12. 아트인컬쳐 "2022 미술가는 문화인류학자 화가 김혜련" 미술이론가 임근준
2022. 6. 21. 경기도정신문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 2020 SIMPLE 기획전 개최" 김상범 기자
2022. 6. 3. 대한경제 "새발무늬토기에 담긴 조형 암호- 담대한 필묵의 왈츠" 이경택 기자
2022.4. 8. 문화일보 "예술과 철학, 물고 물리는 대화와 사유" 오남석 기자
2022. 3. 31. kspnews "은평 한문화특구서 '예술과 암호, 마한의 새' 전시회 열린다." 김창석기자
2022.3.6. 경남중고 재경동창회보 '우리 역사 우리 문화재 제대로 알기' 배기동 전 국립중앙박물관장
2022. 3. 월간미술 "현대성의 시간축을 재설정하는 검은 선의 발현" 임근준 미술 디자인 이론가/ 역사연구자
2022. 2. 아트인컬쳐 "FOCUS 천지자연을 쓰다, 김혜련전" 이동국 예술의 전당 수석큐레이터
2022. 2. 17. 경향신문 " 예술과 인문학의 행복한 만남" 김종락 대안연구공동체대표
2022. 1. 14. SBS News 문화현장 "문자와 그림, 세계를 잇다... 김혜련 개인전" 이주상 기자
2022. 1. 11. 조선일보 "한국거래소, 전시장이 되다. 28일까지 김혜련 훈민정음전" 정상혁 기자
2022. 1. 10. 연합뉴스 "한국거래소, 그림을 쓰다: 훈민정음 김혜련 개인전"
2022. 1. 10. 매일경제 "한국거래소, 그림을 쓰다: 훈민정음 김혜련 개인전"
2022. 1. 10. 한국경제 TV "한국거래소, 그림을 쓰다: 훈민정음 김혜련 개인전"
2021. 7. 월간미술 비평 " 김혜련 예술과 암호: 고인돌의 그림들" 고충환 미술비평
2021. 6.3. 이데일리 "고인돌이 감춰둔 암호화 기술... 김혜련 예술과 암호1" 오현주 기자
2021. 5.5. 교수신문 "김혜련, 예술과 암호 2020" 정민기 기자
2021. 4. 22. 문화뉴스 "먹을 통한 현대성... 김혜련 작가 개인전 열려" 조희신기자
2020. 12. 23. 조선일보 "간결하게 딱딱 끊어지는 한글, 누가 봐도 멋질 수 밖에" 허윤희 기자
2020. 11. 26. 조선일보 "맨발의 문화재청장... ㄱ 의 순간 전에서 신발벗고 무용을" 허윤희기자
2020. 11. 13. 조선일보 "ㄱ 의 순간 트롯아리랑엔 꽃다발이, 한글의 향엔 탄성이" 정상혁 기자
2020. 11. 12. 조선일보 "ㄱ의 순간, 춤으로 노래로 그림으로 ... 오늘 그 모든 글자가 깨어난다. "정상혁 기자
2020. 11. 5. 더 프리뷰 "한글특별전 'ㄱ'의 순간 전시회" 이종찬기자
2020.10.14. 조선일보 “고대 유물에서 한글을 캔다.붓을 든 고고학자” 정상혁기자
2020.10.9. 조선일보 “ ㄱ의 순간 ..현대미술의 거장들이 창조한 ㄱ 의 순간 "정상혁기자
2019. 8. 27. 경기방송 “전곡선사박물관 ‘고구려의 기와문양 전시개최”이창문기자
2019. 8.27. 아시아경제 "경기문화재단 전곡선사박물관 '고구려의 기와문양' 전시"
2019. 2. Kunst.investor 쿤스트인베스토 미술투자자 “ The Sound of Silence-German Forest Heryun Kim”
2018.11. 9. 오마이뉴스 “빗살무늬는 과연 암호일까?” 김찬곤기자
2018.11. 여성조선 “예술과 암호 한국선사미술의 암호; 빗살무늬”
2018.10.18. 한국경제TV “국립중앙박물관 2층에 들어선 신석기토기와 그림”
2018.10.13. 중앙선데이 “10.13. 문화가이드 전시 김혜련: 예술과 암호”
2018. 10.11.아시아투데이 “국립중앙박물관 2층 휴게공간서 ‘예술과 암호’전 선보여” 전혜원기자
2018.10.9. 아시아경제 “신석기 문양으로 도배된 국립중앙박물관” 이종길기자
2018.10. 8. 연합뉴스 “국립중앙박물관2층에 들어선 신석기토기와 그림” 박상현기자
2018.10. 8. 중앙일보 “예술과 암호, 한국 선사미술의 암호; 빗살무늬”
2018. 10. 8. 매일경제 “국립중앙박물관 2층에 들어선 신석기토기와 그림”
2018.10. 8. 뉴스큐브 “예술과 암호, 한국 선사미술의 암호; 빗살무늬” 장영진기자
2018.10. 8. 우리문화신문 “예술적 관점에서 본 한국문화의 코드실험전” 한성훈기자
2018.10. 8. 뉴시스“예술과 암호 한국선사미술의 암호: 빗살무늬” 이수지기자
2018. 7. Berliner Volksbank Treffpunkt Nr.62. 베를린너 폭스뱅크 트레프풍트
2017. 7.1. 중앙선데이 “예술가 키운다는 암묵적 동의” 손관승기자
2017. 4. 6. 조선일보 " 김환기부터 이완까지 '국현'이 고른 야심작" 김윤덕 문화부장
2017. 3. 17. 노컷뉴스 "양푸둥 영상작품, 배가 하늘로 간 까닭은?" 김영태기자
2016. 아리랑 TV “도라산역 통일아트스페이스 전시” 작가 인터뷰
2016. 매거진 Koreana- korean culture &Arts “Special Feature DMZ
2016.12.1. KBS world radio "통일미술 전시, 슬픔의 벽"
2016. 11.28. Voice of America VOA News “Hello Seoul-김혜련 작품전 슬픔의 벽-분단의 현실 담아” 박은정 기자
2016.11.21 노컷뉴스 "북한 병사의 환한 웃음, 화가를 울리다"
2016. 11.9. 중앙일보 "럭셔리 패션, 미술관을 탐하다."
2016. 1. 22. CNB 저널 "아트팩토리, 우리그림, 작가 김선두 김혜련의 병풍과 족자전" 윤하나기자
2015. naver TV “광복 70주년 기념전시” 국립현대미술관 전시 작가인터뷰
2015. 10. 15. 연합뉴스“통일부, 27일부터'2015 통일문화주간' 행사”
2015. 9. 21. 문화경제 “경기 팔경구곡전 절경과 분단이 어깨맞댄 경기” 왕진오기자
2015.9.2. 경인일보 "경기도 미술관 5일부터 특별기획전... 풍경 가슴에 박히다" 황성규기자
2015. 9. Centre Culturel Coreen “Exposition de peinture de Heryun Kim”
2015. 9. l’officiel des Spectacles “Plus le’ger que le vent KimHeryun”
2015. 8. 월간미술 Spetial Feature “광복 70주년, 한국미술 70년”
2015. 8. 매거진 하퍼스 바자 Harper’s Bazaar “디올과 예술가 친구들
2015. 7. 27. 한국일보 “미술작품으로 본 한국 현대사 세굽이”
2015. 7. 20. 노블레스 Noblesse "디올의 예술적 유대감" 안미경기자
2015.7.17. MINT 明潮 “流行觀測站 迪奧精神 Esprit Dior”
2015. 7. 월간미술 Sight &Issue “Esprit Dior 디올정신전”
2015. 7. 월간 디자인 “에스프리 디올-디올정신”전
2015. 6. 29. Gold News “Esprit Dior exhibition launches in Seoul”
2015. 6, 27. 중앙선데이 “모든 여성의 아름다움을 위해 살다간 남자”
2015. 6. 24. Korea JoongAng Daily "Dior collaborates with Korean artists in Espirit“
2015. 6. 18. 중앙일보 “한불 럭셔리 문화의 접점 디올전시회 미리보니”
2015. 6. 17. 연합뉴스 “디올의 역사를 한 눈에…미리 가본 디올 서울 전시회 ”
2015. 6. Dior TV “에스프리 디오르” DDP 협업전시 artist interview
2015. 5. 26. Kultursalon “Heryun Kim, Vessel for Tears”
2015. Magazine Kultur Korea 매거진 쿨투어 코리아 “ Vom Schmerzen der Teilung 분단의 아픔에 대해” by Anne Schneppen
2015. 4. 9. Darmstadt 다름슈타트 “Wenn die Tasse tanzen 찻잔들이 춤을 추면” by Julia Reichlet
2015.3.27.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인 차이퉁 “Galerien in Rhein-Main 라인-마인의 갤러리 다름슈타트 갤러리네투쉴”
2015. 3. 14. Darmstädter 다름슈타트 “Südkorea im Baumhaus 바움하우스의 한국”
2015. 2. 13. 연합뉴스 “'분단'화두 김혜련 화가 주독한국문화원서 전시회” 고형규기자
2014. Juillet –Aout 2014 Programm du Centre Culturel Coreen
2014 Le Figaro Scope “Arts Plastiques Kim Heryun”
2014. 12.12. 경향신문 “예술은 무엇을 더할 수 있는가?” 이문재 기고
2014.11. 월간미술 art journal " 파주평화발전소 미술제 끝과 시작"
2014.10.13. 매일경제 “분단의 아픔을 치유하다…김혜련, 판문점서 전시“ 이향휘기자
2014.10. 월간미술 "진달래로 수놓은 아함경, 김혜련이 그린 학담평석 아함경
2014. 9. 9. 아주경제 작가 김혜련 "도자기 제기하나가 우주처럼 다가왔다" 박현주기자
2014. 9. 8. 연합뉴스 "우주처럼 다가온 제기 김혜련 개인전“ 장하나기자
2014. 9. 2. Smart K 한국미술정보개발원 “김혜련의 ‘병풍놀이’과 ‘완전한 그릇’” 김미정미술평론
2014. 7.17. Quest France,“Expo d’e’te’ rafrai^chissante a` l’Usine Utopik” by Emilie Michel
2014. 6. 25. 머니투데이 “지혜의 숲이 주는 오감만족” 이언주기자
2014.4.22. artprice.com “Overview of south Koreas art market”
2013. 8. 5. 노컷뉴스 “정전 60년 그 상처와 치유, 색채로 표현” 김영태기자
2013. 7. 27. 동아일보 “고미석의 시로 여는 주말, 휴전선” 고미석기자
2013. 7.16. 중앙일보 “포탄에 조각난 캔버스... 갈기갈기 찢긴 마음 읽히죠” 정재숙기자
2013. 6.27. 매일경제 “신간 김혜련-분단의 풍경”
2013. 6. 25. 동아일보 “분단의 핏빛 생채기… 회화는 소리없이 외친다” 고미석기자
2013. 6. 23. 국민일보 “김혜련 회화, 전준호 영상 끝나지 않은 전쟁 60년” 이광형기자
2013. 6. 23. 뉴시스 “김혜련 그림 전준호 영상 끝나지 않은 전쟁 60년” 유상우기자
2013. 6. 19. MBM 뉴스 “황금 DNA: 한국 현대미술 기획전 개최” 이해완기자
2011. 12. 2. 한겨레신문 “내게로 와 별이 된 감꼭지” 정상영기자
2011.11. 29. 헤럴드경제 “검은 화폭에 담아낸 존재의 흔적, 숨결” 이영란기자
2011.11.23. 문화재청 헤리티지채널 “작가 김혜련이 들려주는 그녀의 작품 이야기”, 오소미기자
2011.11. 20. 노컷뉴스 “김혜련, 죽음 분단을 넘어 별을 그리다” 김영태기자
2011.11.7. 아시아투데이 “투데이 갤러리 김혜련의 출생앨범” 주진기자
2011. 10. 4. 문화경제 “2011 인천여성비엔날레 ‘미지의 대지’주제로 개막” 왕진오기자
2011.5.25.아트 와 art in Asia "김혜련전“
2011. 5. 21. 노컷뉴스 " 그 찬란한 시, 그림으로 피어나니“ 김영태기자
2011. 5. 아트인컬쳐 개인전 리뷰 “자연 속에 새겨진 시간기호”이선영 미술평론
2011. 5. 서울아트가이드 “김혜련의 DMZ 풍경 시리즈” 박래경 미술평론
2011. 4. 22. 아트인컬쳐 “뤼비통 코리아의 아트 토크에 가다”
2011. 4. 19. 동아일보 “그림은 그림일 뿐” “의미-상징 담아야” 고미석기자
2011. 4. 12. 문화일보 “분단, 그 아픔.” 신세미기자
2011. 4.11. 아트뮤지움 ArtMuseum “Drawing Now-그림에 새긴 문자” 전정연기자
2011. 4. 2. 노컷뉴스“DMZ 풍경, 찬란한슬픔의색채” 김영태기자
2011. 2. 23. 헤럴드경제 데스크 칼럼 "루이비통 회장이 갤러리로 달려간 까닭"
2010. 4. 매거진 트레블러 “제주를 위한 드로잉”
2009. 8. 17. 경향신문 “책 속으로 들어온 미술의 향 ”
2009. 8. 12. 문화일보 “미술관이 책 속으로 들어왔다 ”
2009. 5. 퍼브릭아트 개인전 리뷰 “김혜련전 볼케이노” 박래경 미술평론
2009. 5. 아트인컬쳐 개인적 리뷰 “회화와 서사의 육질에 대하여” 김정락 미술평론
2009. 4. 21. 헤럴드경제 “화산 폭발하듯-장엄한 제주” 이영란기자
2009. 4. 아트인컬쳐 , “Today's Flower in art”
2008.11. 아트인컬쳐 “메타모르포제스-한국의 비극”
2008. 11.미술세계 “메타모포제-한국의 비극” 고영희기자
2008.11. 매거진 럭셔리 “에스파세 뤼비통에서 확인한 한국의 변신”
2008. 10. 2. 서울신문 “뤼비통 전시관에 한국화가 첫입성” 이종수기자
2008. 9. 아트인 컬쳐 작가론 “어둠 속에 빛나는 재료의 결” 장승연 미술평론
2008. 7. 퍼브릭아트 개인적 리뷰 “김혜련의 고귀한 회화적 현장” 윤우학 미술평론
2008.3.16.카톨릭신문 “에밀 놀데의 최후의 만찬” 주정아기자
2007.12. 월간미술 개인전 리뷰 “김혜련전” 손성진 미술평론
2007. 11. 3. 헤럴드경제 “어둡지만 그윽한 향기” 이영란기자
2007. 10. 30. 파이낸셜뉴스 “화가는 늘 불안하고 처절하다.” 박현주기자
2007. 10. 29. 한국경제 “반추상그림에도 매수세력” 김경갑기자
2007. 10. 19. 한겨레 “김혜련의 붉고 검은 사과”
2007. 10. 18. 서울경제 “200호 대작에 담긴 사과의 생명력” 장선화기자
2007. 10. 17. 중앙일보 "가을 사과, 어둠속에서 빛나는 “
2007. 10. 15. 연합뉴스 “서양화가 김혜련이 그린 가을사과” 조채희기자
2007.4. 월간미술 개인전 리뷰 “김혜련전”, 이추영 미술평론
2007. 2. 9. 한국일보 “포도송이에서 삶의 희망을 보다” 오미환기자
2007. 2. 7. 문화일보 “포도의 생명력 화폭에” 신세미기자
2007. 2.1. 국민일보 “알알이 핀 생명력” 전정희기자
2007.1.31. 경향신문 “난 지지않아요, 저 생명력처럼” 윤민용기자
2007.1.30. 서울경제 “과일을 통해 본 삶과 죽음” 장선화기자
2007.1.29. 헤럴드경제 “포도이야기” 이영란기자
2007.1.28. 파이낸셜뉴스 “미안하다. 포도야, 그리고 고맙다” 박현주기자
2007.1.26. 연합뉴스 “신발에서 사과나무 포도까지 그린 여자”
2007.1.26. 매일경제 “정물 속 시적 상상력” 한배선기자
2006.11.3. Die Welt 디 벨트 "Drei koreanische Künstler in Wilmersdorf“ by Christiane Meixner
2006. 5. 월간조선 탑클래스 “동서양을 가로지르는 시적 상상력” 이진숙 미술평론
2006.1.7. Die Welt 디 벨트"Kunsthalle Dresden “ by Andrea Linkenheil
2005.12. 월간미술 개인전 리뷰 “김혜련전” 윤우학 미술평론
2005. 11. 27. Berliner Morgenpost 베를린모르겐포스트 “Kanus und Schuhe im Ephraimpalais 에프라임 팔레의 카누와 신발“
2005. 11. 27. Kulturkurier 쿨투어쿠리어 artist interview “Shoes for Painting Heryun Kim
2005. 11. 23. Tagesspiegel 타게스슈피겔 “Gross ist der Schuh 커다란 신발” by Jens Hinrichsen
2004. 문화예술진흥원 문예연감2004 " 미술개관" 박일호 미술평론
2004.10.17. 교수신문 “예술계 풍경-화가와 여행전” 이은혜기자
2004. 2. 2. 동아일보 " 32 인 32 색 정물예찬 전 ... 당신은 누구인가"
2003.11.7. 이코노미스트 “유화와 난의 이색적 만남” 이주헌 미술평론
2003. 8. 월간미술 개인전 리뷰 “김혜련전”진휘연 미술평론
2003.7.3. 문화일보 “목가적 독일풍경에 흠뻑” 신세미기자
2003.6.25. 조선일보 “내 가슴 속으로 뛰어든 풍경” 정재연기자
2003. 2. 27. 주간조선 “그리움과 예술의 표상 우리 어머니” 유나니기자
2003. 2. 12. 조선일보 “내 마음 속 어머니의 방문을 열고” 정재연기자
2002. 5. 23. 한국일보 “독 에밀 놀데, 1913년 한국방문 인물화 그렸다.” 박광희기자
2002. 5. 2. 연합뉴스 “낭만을 꿈꾼 표현주의화가 에밀 놀데”
2001. 5. 14. 한국일보 “두터운 질감. 선명한 윤곽선”
2000. Magazine Sylt 2000 매거진 쥘트 2000 "Bilder stärker als Worte 언어보다 강한 그림“ by Angelika Scholz
2000. 11.4. Darmstädter 다름슈테터 "Werk im Umbruch Heryun Kim bei Netuschil 변혁의 작품 네투쉴의 김혜련“ by Roland Held
2000.10.17. Main 마인 “Drang zur Kargheit Die Koreanerin Heryun Kim bei Netuschil” 절제에의 충동 네투쉴 화랑의 한국화가 김혜련” by Horst Roland
2000.10. 8. Sonntag-Morgenmagagin 존탁-모르겐 매거진 “Konzentration und Weite Malerin Heryun Kim stellt aus 집중과 확산 화가 김혜련 개인전”
2000. 10. 5. Südhessen-Woche 쥐드헤센-보헤 “Die Malerin Heryun Kim aus Korea 한국 화가 김혜련”
2000. 10. Darmstädter Kulturnachrichten 다름슈테터 쿨투어나흐리히텐 “Konstante Harmonie 불변의 하모니”
2000. 10. Fritz 프릿츠 “Aesthetische Formen 미학적인 형태들”
2000. 10. Kulti-Tipps Heiner 쿨티 팁스 하이너 “Konzentration und Weite 집중과 확산
2000.10. Vorhang auf 포어항 아우프 “Konzentration und Weite 집중과 확산”
2000. 3. 월간미술 개인전 리뷰 “김혜련전” 고충환 미술평론
2000. 1. 21. 한국경제 “재독화가 김혜련씨 오늘부터 개인전”
2000. 1. 20. 한국일보 “사물의 본질 투명하게 보여줘” 송영주기자
2000. 1. 19. 내외경제 “재독화가 김혜련 서울서 첫 작품전” 이영란기자
2000. 1. 18. 문화일보 “재독화가 김혜련 고국서 첫 개인전”
2000. 1. 18. 서울경제 “이미지란 무엇인가 섬세하게 전달”
2000. 1. 17. 중앙일보 “섬세한 층의 변화로 환상적 느낌” 기선민기자
2000. 1. 15. 일간스포츠 "화폭 가득 넘실대는 바다“
2000. 1. 13. 인천일보 “재독화가 김혜련 첫 귀국전”
1998. 6.3. Tagesspiegel Berlin, Ticket 타게스슈피겔 베를린, 티켓 “Alle neue Atelierundgang am Charlottenburger Ufer 샤를롯텐부르거 우퍼 아홉작가 오픈스튜디오”
1998.5.19. Kieler Nachrichten 킬러나흐리히텐 “ Spannungsfeld der Kulturen 문화 간 긴장감 가득한 곳” by Hannes Hansen
1998.5.5. Osnabrücker Land 오스나브뤽커 란트 " Wo Farben leuchten dürfen 색채에서 빛이 나는 곳“
1998. 4.23. Holsteinicher Courier 홀슈타인니셔 쿠리어 “ Minister Wiesen brachte Versteigerung in Schwung 비젠 장관이 경매를 진행하다”
1998.4.22. Kieler Nachrichten 킬러 나흐리히텐 “Einmal an die Nase gefasst – und schon ein Bild gekauft 코 한번 만지는 사이 그림이 벌써 경매되고”
1998.4,4. Holsteinicher Courier 홀슈타인니셔 쿠리어 "Malerisch in zwei Welten wandeln 두 회화 세계 속을 산책하는“ by Gabriele Vaquette
1998.2.28. Main 마인 "Dekoratives Gerümpel 장식의 정물들“, by Horst Roland
1998.2.11. Darmstäter 다름슈테터 "Die Macht des Malers 화가의 힘“ by Roland Held
1998. 2. Darmstädter Kulturnachrichten 다름슈테터 쿨투어나흐리히텐 "Stilleben 정물화"
1998. 1. 23. Darmstädter “Wer? Wann? Was?” by Bert Hensel
1998. 1. Darmstädter Kulturnachrichten 다름슈테터 쿨투어나흐리히텐 “Leben der gemalten Stille 그려진 정적 속의 생명력”
1997. 9. Darmstädter Kulturnachrichten 다름슈테터 쿨투어나흐리히텐 "Mutter und Kind in Blau 푸른색의 엄마와 아이“
1997.4.7. Schau Fenster 샤우펜스터 “Wandeln in zwei Welten 두 세계 속의 산책자” by Gabriele Vaquette
1996. 1. Berliner Morgenpost 베를리너 모르겐포스트 "Menschenbilder 인물화들“ by Christina Wendenburg
1994.1.29. Tagesspiegel 타게스슈피겔 "Im Zeichen von Jing und Jang 음양의 기호에서“ by Elfi Kreis
1994.1.25. Berliner Morgenpost 베를리너 모르겐포스트 by Renne Schipp “Wenn Innenräume farbige Lebendigkeit erhalten 공간이 색채의 활력을 얻을 때”
기사 presse
전시 exhibitions
이력 Biography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