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청, 시간을 담다.

 


홍지수: 처음 작업에 어떻게 입문하시게 되었어요?

 

김혜련: 2014년부터 한국의 고대 유물을 자세히 관찰했습니다. 박물관과 유적지 탐방이 쌓이다 보니 시간과 공간이 씨줄 날줄처럼 연결되어 제 머릿속에 한국미술이라는 신비로운 세계가 펼쳐지는 것 같았고 그 중에서도 우리가 서양 문화사에서 르네상스 시기라고 배운 15세기에 한국에서는 분청 도자기가 발전했는데 저는 분청의 표현성이 예술이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경지 중 하나라는 확신이 들었습니다.

 

홍지수: 이번 신작에 대해 간단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김혜련: <예술과 암호-분청>은 저에게 가장 인상깊게 다가온 국립중앙박물관, 리움미술관, 개인소장 유물 3점을 모티브로 그린 거예요. 예를 들어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편병에 새겨진 버드나무와 새의 선을 따라 그려봤더니 이 선을 구사한 장인에게 감정이입이 되더라구요. 분청사기를 보고 느낀 저의 감동을 최대한 시각적으로 증폭시키고자 대형 캔버스에 그렸어요. 귀얄, 덤벙 기법의 회화성을 현대미술의 관점에서 그대로 공감한 것입니다.

 

홍지수: 작품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김혜련 선생님 신작에는 파스텔 톤의 색채와 강렬한 먹 선이 눈길을 사로잡는데 여기에 대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김혜련: 전국의 박물관, 유적지를 탐방하며 <예술과 암호>라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는데, 이번에는 현대를 사는 저 김혜련의 붓질과 15세기 분청 장인이 휘두른 붓질이 만났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색체를 실험할 자신감을 얻었죠. 다른 생각은 안하고 오직 아름다운 분청 유물들을 기억하면서 붓질을 해요. 생각이 없어지는 지점에서 행위만 남을 때 그 붓질이나 색이 오롯이 제 심장에 다가와요. 그리고 이번 작품은 규모가 커서 바닥에 두고 작업하는데 먹과 물감이 마르려면 이틀 정도 걸려요. <예술과 암호-분청 6>은 말리는 도중에 작품을 세워서 먹이 적당히 흘러내리도록 의도했습니다. 이는 시각적 정보 뿐 아니라 작품에 몰입해서 하나가 됐던 시간을 무의식적으로 환기하는 작용을 해요. 또 긴장감과 여유라는 상반된 미학적 가치가 교차하는 지점을 표현하죠.

 

홍지수: 김혜련 선생님의 굵은 먹선과 같은 특징은 선생님의 경험 속에서 발현되면서 특정한 걸 염두에 두고 표현하시는 부분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김혜련: 제 작업 스타일을 크게 보면 표현주의 계열이니까 속도감이 있어요. 먹선은 묵화처럼 일필휘지로 하는데 그 짧은 시간 동안 몰입하기 위해서 사전 연구를 많이 해요. 잡념을 없애고 몰입도가 높아질수록 물리적 시간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아요. 그러니까 사전 작업이 더 필요한 거죠.

 

홍지수: 작품을 관람객들이 만났을 때 어떤 포인트를 읽었으면 좋겠다는 의견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김혜련: 작품을 할 때 보통 우리가 밑바탕이라고 그러는데 실질적으로 마음의 바탕이기도 해요. 넓은 캔버스에 구현된 귀얄 기법과 덤벙 기법이 현대회화 대가들의 붓질과 똑같기 때문에 ‘500 년 전에 어떻게 이분들은 이러한 경지를 깨달았을까?’ 하고 감탄했고, 그것을 제 방식으로 배워보고 번역하고 싶었어요. 그 분들이 그림을 그린 그릇은 작지만 저는 큰 캔버스에 제가 품은 감동, 존경의 마음을 시각적으로 극대화해서 번역하는 행위를 했고, 이 행위의 결과물인 캔버스를 통해 조선시대 분청에 감탄하는 제 마음이 관객들에게 조금이라도 감정이입이 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홍지수: 향후 계획이 어떻게 되시나요?

 

김혜련: 저는 쉰 살이 넘어서야 제가 무엇을 바라보고 있는지 조금 알게 된 것 같습니다. 한 인간으로서 갈구하는 것과 작가로서 갈구하는 것이 평행선처럼 따로 진행되었었는데 그 간격이 조금씩 좁혀지고 있음을 느낍니다. 예술은 인간에게 내재하는 본성이라고 생각합니다. 인간으로 태어나 감각과 지각, 감동과 인식이 쉬지 않고 작동하며 두리번거릴 수 있는 일을 통해 어쩌면 영혼의 각성을 이룰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합니다.


- 서울공예박물관 특별전 <공예 디알로그> 도록 내용 중에서

 



Buncheong,

The Embodiment of Time

 

Jisu Hong: How did you begin your careers ?

 

Heryun Kim: I began to carefully observe Korean ancient relics since 2014. When the nummer of visits to museums and historic sites began to add up, a mysterious world of Korean art began to unfold in my head as time and space interlinked like longgitude and latitude. In particular, during the 15th century, which is regarded as the Renaissance era in Western cultural history, there was a development in Korean Buncheong ceramics of which I became confident that its expressive function is one of the highest level that can be achieved in art.

 

Jisu Hong: Please briefly introduce your new work.

 

Heryun Kim: The most impressive three relics from the National Museum fo Korea, Leeum Museum of Art, and an individual collector served as motifs for <Art and Code-Buncheong>. For example, when I traced the lines of the willow and bird designs on the flat bottle own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 became absorbed in the emotion of the artist who painted those lines. In order to visually amplify how moved I was upon seeing the buncheong bottle, I used a large canvas to paint my feeling. I related to the painterly features of gwiyal and deombeong techniques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mporary art.

 

Jisu Hong: I would like to ask your works. please describe the pastel color tone and powerful lines painted with ink in your new work.

 

Heryun Kim: I began the <Arts and Code> project while I visited museums and historical sites all over the country. This time, I think it ist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he brush strokes by me Heryun Kim, who lives in the present, and the touches made by the 15th century buncheong artisans. Moreover, I became confident in experimenting with colors. While painting, I only thought about the beautiful buncheong collection I have seen and nothing else. The moment I became blank, I am left with only motions, which is when the brush strokes and colors move my heart. Furthermore, the ink and paint takes around two days to dry, because it is a large scale piece that needs to be laid on the floor while I work on it. For <Arts and Code-Buncheong 6>, I intentionally raised the painting when it was still wet to allow the ink to run down for a certain time. This not only acts as a visual information, but also unconsciously refreshes the time spent on integrating with the materials while focusing on my work. It also marks the point where two contrasting aesthetic values, tension and ease, intersect.

 

Jisu Hong: I would like to know if you keep a specific thing in mind that emerges from your experience when featuring your signature style such as the thick ink brush strokes.

 

Heryun Kim: In a broader sense, the way I work has a sense of speed as my work is related to Expressionism. Although the lines are painted with ink in single stroke, which is similar to mukhwa (ink painting) methods, a great amount of research was done in advance, in order to fully focus in such a short time. Physical time is not that important when one clears the mind and increase the level of immersion. Therefore, it is more necessary to carry out preliminary studies.

 

Jisu Hong: Please share what you hope the audience will take from your work.

 

Heryun Kim: The background of a work of art actually serves as a base for our minds. After discovering that gwiyal and deombeong techniques on a wide canvas resemble the brush strokes of the masters of contemporary painting, I was in awe and thought ‘how did these people from 500 years ago reach this level? then I wanted to learn and translate it in my own way. The vessels they painted may be small, however, I reinterpreted it on a large canvas where I can visually maximize how moved I was and my respect for their work, thus, I wish the audience will immerse themselves in the astonishment I had of buncheong from the Joseon period through this canvas, which holds the outcome of my actions.

 

Jisu Hong: what are your future plans?

 

Heryun Kim: I began to realize a little about where I am headed when I passed the age of 50. The desires I have as a human being and as an artist were pararelled to each other and progressed separately, however, I feel the gap is decreasing little by little. I believe art is an innate human nature. Born as a humans, I anticipate that we can awaken the soul through looking around as we constantly sense, perceive, and become impressed and conscious. 


Board Pagination ‹ Prev 1 Next ›
/ 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Copyright ⓒ 2013 heryun-kim.com. Allrights reserved.
XE Login